[스크랩] 장동어족 Tai-Kadai Language Family 壯?語族 (타이-카다이 어족, 좡뚱어족)
타이-카다이 어족 (壯侗語族 좡뚱어족)
타이카다이 어족 = 壯侗語族 좡뚱 어족 = 따이까다이 어족 = Tai-Kadai Language Family = 타이 제어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타이어 (태국어) 계통의 여러 언어를 일컫음.
시암어 (태국의 국어), 라오어 (라오스의 국어), 샨어 (미얀마 샨주의 공용어)가 많이 알려져 있는바, "타이 제어" 라고도 함.
중국에서는 "좡뚱 어족 (壯侗語族 장동어족)"으로 불리운다.
이전에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다고 여겨졌으나 지금은 독립적인 어족으로 분류되고 있다.
타이-카다이 어족의 분류
1. 좡-타이 어군
Tai-Kadai Family > Zuang-Tai Group, 壯侗語族 > 壯語係 (좡어계)
동남아에서는 타이 (傣) 중국에서는 좡 (壯) 이라는 명칭을 대표적으로 사용
동남아의 타이 어군은 태국 (타이어), 라오스 (라오어), 미얀마 (샨어) 등 에 널리 분포
중국의 좡 어군은 남서부 광서성의 최대 민족 군을 형성.
1.1. 북부 타이 계통
1) 좡족 (장족) 壯族 Zhuàng
대부분 중국 남서부 광시좡족자치구에 거주 (약 1800 만명). 중국에서 한족 다음으로 인구가 많음
2) 부이족 (부예이족, 포의족) 布依族 Buyei (Puyi)
중국 남서부에 약 283만명 거주 (2000년), 베트남에 소수 거주. 분류상 북부 타이계 좡족의 일파
1.2. 중부 타이 계통
3) 눙족 (儂族, 눙족, 능족, 농족, Nung)
- 삶터: 베트남 북부에 68만명, 중국 운남성에 12만명, 라오스에 5만명 거주 (1995년 기준)
- 베트남의 눙족:
타이-눙족 (Tai-Nung), 따이족 (Tay) 등으로 불리움
중국-눙족 (China-Nung)은 광동어을 쓰는 중국인을 베트남에서 부르는 이름 (중국화된 눙족으로 여겨짐.)
- 중국의 눙족:
중국에서 눙족이라 함은 베트남의 타이-눙족을 의미
중국-눙족 (광동인) 과 구분하기 위하여 운남-눙족, 농족 등으로 불리움.
중국에서는 좡족의 일파로 분류
- 티벹-미얀마 계통의 눙족 (Nung) 은 중국의 아농족을 의미하며 별개의 민족임.
4) 타이족 (Tày 타이족, Tho 토족, Zuojiang-Zhuang 저장-좡족)
- 삶터: 베트남과 중국 접경에 거주, 베트남에 150만명 (1999), 중국에 110만명
- 베트남에서는 타이족 Tay, 중국에서는 Thô, Cuoi, Zuojiang Zhuang 등으로 불리움.
- Tho라는 명칭은 다소 경멸적이라, 스스로는 Tay로 부른다.
5) 양-좡족, 다이-좡족, 농-좡족, 민-좡족
- 중국 윈난성의 Dai Zhuang 12만명 (2006), Nong Zhuang 12만명 (2006), Min Zhuang 12만명 (2006),
- 중국 광시성 남서부 Yang Zhuang 87만명 (2000)
1.3. 남서부 타이 계통
6) 타이족 (따이족), Tai people, Thai people,
- 현재 동남아에 있는 태국의 다수민족. 2000~2006년 기준으 인구 분포는 아래와 같음
태국의 표준어 2000 만명 (시암어 Siam),
이산어 2300만명 (태국 북동부 언어, 라오어에 가까움),
북부 태국어 600만명 (치앙마이어, 란나어, tai yuan, khon mueang),
남부 태국어 약 500만명
7) 샨족 (Shan People)
- 미얀마의 샨족 (Shan People),
- 미얀마 북동부에 371만명 거주 (2006).
8) 라오족 (Lao People)
- 라오스의 다수 종족인 라오족
- 라오스와 태국 북부에 약 300만명 거주
9) 푸-타이족 (Phu Thai)
- 라오어와 밀접한 관계,
- 태국 21 만명, 라오스 15 만명, 베트남 15만명 (2006년)
10) 태족 (傣族, 다이족)
- 중국 윈난성 등에 거주하는 남서부 타이족
- Tai-Nüa, Tai-Lü, Tai-Dam, Tai-Don 등을 중국에서 통칭
11) Tai Nüa, Dehong Dai, or Chinese Shan
- 중국 윈난성에 약 70만명 (2006) 분포.
12) 루족 (潞族, Lü, Lue, Xishuangbanna Dai).
- 중국 윈난성, 미얀마, 태국 및 라오스 접경 지대에 거주
- 중국에 약 28만명, 미얀마에 약 30만명, 라오스에 약 4만명, 태국에 약 6만명 (2000) 분포.
13) 흑타이 (Tai-Dam)
- 베트남 북서부 라오스 및 중국 접경지대에 주로 거주
- 베트남에 67만명 거주, 라오스 4.5만명, 중국 3.2만명, 태국에 1.2만명 거주
14) 백타이 (Tai-Don)
- 베트남 북서부 라오스 접경지대에 주로 거주
- 베트남에 28만명 거주, 라오스 20만명,
2. 캄-수이 어군
Tai-Kadai Family > Kam-Sui group
壯侗語族 > 侗語係 (동어계)
스스로는 캄 (甘) 및 수이(水) 라는 명칭을 중국 정부는 둥 (侗) 이라는 이름을 대표적으로 사용
중국 귀주성의 최대 언어 민족군을 형성
1) 둥족 (Dong, 侗族, 동족, 뚱족, 퉁족, 甘族, 캄족, 감족)
- 자칭: Gaem 甘 (자칭)
- 옛 이름: 僚 (랴오)
- 중국에 약 280만명 (2000), 절반 정도인 140만명이 중국 귀주성에 거주
- 둥족의 인구는 1978년 구이저우 성 주민의 1/3에 해당하는 110만 명으로 조사됨.
- 고대 중국 남부에 살고 있던 백월百越의 분파인 낙월駱越(Nanyue)의 한 갈래.
- 위(魏)/신(晋) 시대 이후에는 랴오(僚)로 불렸다.
2) 수이족, 水族, Sui (Shui) People, 수족
- 중국에 약 43만명, 중국 귀주성에 대부분 거주 (90%)
- 고유 문자인 수서水書가 있으나 어휘가 부족하고 현재는 종교활동 등에 한정적으로 사용됨.
- 수서水書 는 한자를 뒤집어 놓은 것 같은 표의문자
- 고대 중국 남부에 살고 있던 백월百越의 분파인 낙월駱越(Nanyue)의 한 갈래.
- 백월과 낙월이 혼혈된 자손의 집단이라고 여겨짐.
- 따이 조사체계를 가장 잘 보존
3) 마오난족, 毛南族, 毛難族, Maonan
- 수이족(水族)과 밀접한 관계.
- 중국 광서성 약 11만명 거주 (2000년)
4) 무라오족, Mulao 仫佬族 무로족
- 중국 광서성 약 20만명 거주 (2000년)
- 자칭: mulam
3. 흘라이 그룹
Tai-Kadai family > Hlai Group
壯侗 語族 > 黎 語係 (리어계)
중국 하이난 섬의 최대 언어 민족군 형성
1) 리족 (黎族, 리족, 이족, 려족, 여족, Li, 흘라이, Hlai, 사이 Sai or Say)
- 인구는 약 130만 명 가량이며, 94%의 인구가 하이난 섬에 모여 삼 (2011)
- 수이족(水族)과 밀접한 관계. 중국어 방언인 민남어의 일종인 해남어도 사용, 1957년 이래 로마자로 표기
- 고대 중국 남부 백월百越의 분파인 낙월駱越(Nanyue)이 진,한시대에 이주하여 리족이 형성되었다고 여겨짐.
- “사기”의 주석서인 “정의”에는 리족의 고대 명칭으로 추측되기도 하는 “구려”라는 민족 명칭이 등장
- “사기”에 기록된 “구려”는 산둥반도 및 장쑤성 일대에 거주하던 민족.
- 분파: Ha (표준방언), Qi, Run, Sai and Meifu
- 어휘적 유사성 (Lexical similarity): 27% Gelao, 26% Dong and Qabiao, 25% Lachi.
2) 쟈마오족 (Jiamao)
- 중국 하이난섬 남부에 약 5만명 (1987) 거주
- 중국 학자들에 의해 리족과 같은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음.
- 발음, 어휘, 문법 등에서 Li어와 많은 차이가 있음
4. 카다이 그룹 (Kra Group)
Tai-Kadai Family > Kra Group
壯侗 語族 > 仡央 語係 (거양 어계)
중국 남서부의 소수 민족 (거라오족으로 때표도
1) 거라오족, Gelao, 仡佬族 (걸로족, 흘로족)
- 중국 남서부 약 55만명 거주 (2000년)
- 별칭: Gelo, Klau, 꼬라오족
2) 컨족, Cun, Cunhua
- 중국 하이난섬에 약 8만명 거구 (1999)
- SVO; tonal, 10 tones (5 in checked syllables and 5 in unchecked syllables)
- 어휘적 유사성 (Lexical similarity): 40% Hlai [lic]. Many loanwords from Chinese.
3) Laha
- 베트남 북부에 약 1만명 거주 (2009)
- Qabiao좆 언어와 비슷 / 소멸 위기의 언어
4) Qau
- 중국 귀저우성에 약 2000명 (2011) / 소멸 위기의 언어
5) 소멸 위기의 언어
- Buyang, En, Yerong, Duoluo, A’ou, Lachi, Mulao
5. 옹베 그룹
Tai-Kadai Family > ong-Be Group / 壯侗 語族 > 臨高語 (린가우어)
1) 옹베족, 베족, 臨高
- 중국 하이난 섬에 약 60만 거주 (2000년)
- 별칭: Ong Be, Bê, Limgao (臨高)
- The language is taught in primary schools and broadcast on the radio.
- 타이카다이 어족으로 분류되나, 어족 내에 유사 언어가 없고, 근친 관계가 정립되지 않았음.
한장n남아n남도n파푸아_언어분포스케치_동남아시아.jpg
타이-카다이 언어의 특징
1. 타이어(시암어)와 라오스에서 쓰는 라오어, 미얀마에서 쓰는 샨어가 가장 잘 알려져 있는바, "타이 제어" 라고도 한다.
2. 전통적으로 이 언어들은 시노티베트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비슷한 음운구조, 성조체계 및 일부 어휘들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몇 비슷한 어휘들을 근거로 할 때 이 언어들이 중국 남서부와 하이난[海南]의 카다이 제어와 관련이 있고, 궁극적으로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관련되어 있음이 거론되어왔다.
3. 어휘와 음운체계를 기준으로 남서부·중앙·북부의 3개 방언군으로 명확하게 분류된다. 이 3개 방언군은 대부분 서로 어휘들을 공유하고 있는데 2개 방언군에서만 볼 수 있는 낱말들도 있다.
4. 남서부 방언군: 타이어· 라오어· 샨어· 쿤밍어[昆明語]· 누어[怒語]·백(白)타이어·흑(黑)타이어 등으로 구성된다. 타이, 라오스, 베트남 북부, 미얀마, 중국 윈난 성[雲南省] 일대에 퍼져 있다. 이 방언군은 최근에 확대되어 타이 제어 사용자의 2/3를 차지하며, 지리적으로 가장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5. 중앙 방언군: 베트남 북부에서 쓰는 토 방언과 중국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룽저우[龍州] 방언을 비롯한 여러 방언들이 포함된다. 중앙 방언은 'tr'와 'thr' 같은 타이 공통조어(共通祖語)가 지닌 겹자음을 여전히 쓰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방언군과 구별된다.
6. 북부 방언군: 중국 구이저우 성[貴州省]의 부이어[布依語], 광시 지역의 좡어[壯語], 윈난 성과 베트남에서 쓰는 일부 방언들, 라오스와 타이에서 쓰는 사엑어로 구성된다. 음운 발달과정에서 보면 북부 방언들은 무성폐쇄음에서 유기음(有氣音)과 무기음(無氣音)을 구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나머지 방언군과 다르다. 일부 방언들에서 볼 수 있는 유기음은 후에 차용어와 파생어로 인해 생겨난 것이다.
7. 타이 제어의 낱말은 대부분 단음절로 되어 있다. 다음절로 이루어진 많은 낱말들은 주로 다른 말에서 온 차용어와 합성어에서 파생되었다.
8. 음절은 자음이나 겹자음에 이어 모음이나 겹모음이 나오는 꼴로 구성되었다. 끝자리에는 때때로 비음(鼻音)이나 비개방(非開放) 폐쇄음이 오기도 한다.
9. 음절마다 음조 강세, 즉 성조가 있는데 같은 형태의 낱말들을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조에는 5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면 수평 성조('오다'라는 뜻의 maa에서 a), 낮은 성조('빈랑나무열매'라는 뜻의 màak에서 à), 하향 성조('많은'이란 뜻의 mâak에서 â), 높은 성조('말'[馬]이란 뜻의 máa에서 á), 상승 성조('개'라는 뜻의 maa에서 a)가 그것이다.
10. 동남아시아의 인접지역에서 쓰이는 많은 언어들과 접촉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많은 어휘들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타이어와 라오어는 크메르어와 산스크리트·팔리어 등이 속해 있는 인도아리아어족에서 광범위하게 어휘를 차용했고, 중앙 방언군과 북부 방언군은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11. 타이 제어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쓰이는 핵심 어휘는 이전의 공통조어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어형변화에 굴절어미를 쓰지 않고 새 어휘를 만들 때는 파생접사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즉 새 낱말은 기존의 어휘에 어미나 접두사, 또는 다른 낱말을 붙여서 만든다. 타이어에서 파생어를 만드는 주요방법은 낱말들을 합성하는 것이지만, 단어를 중복하는 방법도 많이 쓰이고 일부분만 중복된 것도 볼 수 있다. 자음이나 성조 혹은 둘 다를 교체하는 파생법은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온전한 단어의 일부 형태를 축약해서 만든 고유한 접두사가 핵심 어휘에 나타나기도 하지만 접두사와 삽입사는 인도아리아어족 및 크메르어의 차용어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12. 일반적인 문장 구문은 주어인 명사구 뒤에 술어인 동사구가 나오지만, 동사가 없고 명사가 그를 대신하는 명사 술어가 있을 수 있다. 첨사(添詞)는 구문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첨사들, 특히 문장 끝에 나타나는 것들은 의문이나 명령을 나타내고, 강조나 불확실함을 드러내며, 화자의 성(性)이나 화자가 의도하는 공손함의 정도를 나타내는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13. 문자: 타이 제어에는 2가지 글자체계가 쓰여왔다 (→ 타이 글자체계). 중앙 방언군과 북부 방언군은 중국의 한자를 사용해왔는데, 18세기나 훨씬 더 이른 시기부터 주로 노랫말을 쓰기 위해 한자를 부분적으로 수정해서 썼다. 또 하나의 글자체계는 인도아리아어에서 나온 것으로, 그 기원이 13세기로 올라가며 남서부 방언군의 여러 언어에서 쓰인다. 인도아리아어의 글자에서 나온 여러 가지 자모가 이 방언군에서 쓰이고 있다. 현대 타이어는 인도의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나온 문자로 쓰이고 있고, 42개의 자음 글자와 35개의 모음과 연속모음 글자, 4개의 성조 표지를 갖고 있다. 이와 비슷한 글자체계들이 라오어·누어·백타이어·흑타이어 등에서 쓰인다. 완전히 다른 종류의 인도아리아어 글자가 샨어·아홈어에서 쓰이지만 이 글자의 모양은 서로 매우 다르다. 데바나가리 문자와는 대조적으로 샨어와 아홈어의 자모는 문제가 있는데, 그 이유는 높은 자음과 낮은 자음 사이에 구별이 없고 모음 글자의 수가 충분하지 못하며 성조 표지가 없기 때문이다.
출처: 네이트 백과사전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B&i=197278&v=44]
타이-카다이 언어 분류에 대한 여러 학설
1. Austric Super Language Family
The Tai-Kadai languages are a language family found in Southeast Asia and southern China. They were formerly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Sino-Tibetan family, but are now classified independently as the Tai-Kadai family. They may be related to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Some researchers have even proposed they are part of a larger Austric superfamily.
The Tai-Kadai languages originated in southern China, which is home to most of the Tai-Kadai subfamilies. Speakers of the Tai languages subgroup moved south into Southeast Asia in historic times, founding the nations that later became Thailand and Laos.
See article. http://www.economicexpert.com/a/Tai:Kadai:languages.html
2. Ethnologue
이 타이-카다이 어족에는 92종의 언어가 포함됩니다. 자세한 분류는 다음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ttp://www.ethnologue.com/show_family.asp?subid=818-16
타이어 (泰國語 타이어)
타이카다이 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하나로, 타이 왕국의 다수 종족인 타이족의 언어. 라오스어와는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관계가 깊다. 표준어는 수도인 방콕 및 그 인근의 중앙 타이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1. 명칭
타이어 (ไทย語, Thai語, ภาษาไทย파사타이)
2. 어법:
* 어순은 영어나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SVO 어순의 언어
* 동사 및 명사의 곡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립어
* 수식어가 피수식어의 뒤에 위치
* 단수와 복수 구분은 따로 표시하지 않으며, 명사를 반복하는 첩어를 통해 복수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남도어족 제어의 특성과 비슷하다. 단, 말레이어처럼 실제로 명사를 반복해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도돌이표 글자라 할 수 있는 ๆ를 붙인다. 예를 들어 ช้างๆ이라 쓰면 '창창'이라 읽으며 '코끼리 여러 마리'란 뜻.
* 성조 - 태국어의 성조는 5성이다. 성조는 성조부호를 사용하는 유형성조와 성조부호가 없는 무형성조로 나뉘는데, 유형성조는 스페인어의 악센트부호와 같이 무형성조의 유형을 판별하는 규칙에서 벗어난 단어에만 표시해준다.
경어법 - 국왕과 불교가 국가의 중심인 타이에서는 언어상에도 이러한 사회상이 반영된 경어법(대우법이라고도 함)이 발달되어 있다. 국왕및 왕실에 대한 왕실경어법, 승려에 대한 경어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어는 주로 명사와 동사에서 특수한 형태의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왕실경어법에는 산스크리트어, 크메르어 및 타이 고어등의 특수어휘가 사용된다.
2. 어휘:
* 고유어 - 단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본어휘에 많다.
*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계통의 외래어 -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위상과 비슷한데,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흡수한 고급어휘 및 일상어휘가 많다. 언어를 뜻하는 ภาษา(파사) 역시 범어 '브하사'에서 유래한 것.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계통의 어휘는 같은 발음이라도 사용되는 글자가 달라서 어원을 구분할 수 있다. 합성어에서도 양 언어에서 유래된 어휘는 타이 고유어와는 달리 싸맛이라고 부르는 합성어형성법 규칙의 적용을 받으며, 문법도 팔리,산스크리트어 어법에 따라 결합한다. (즉,영어에서 라틴어 유래의 일부 어휘가 복수형에서 -s의 형태를 취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 크메르어로부터의 외래어 - 주로 궁중용어에 많다.
* 중국어 계통 - ม้า(마, 말)나 ช้าง(창, 코끼리)같이 말 마(馬), 코끼리 상(象) 등의 중국어계 어휘가 다소 존재하고 있기에 초기에는 태국어가 한장어족에 속한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오래 전에 받아들인 차용어임이 드러났다.
3. 방언:
* 타이카다이어족에 속하는 많은 방언들이 있어서, 지방에서는 각각의 언어 또는 방언이 사용된다.
* 타이동북부의 이싼지방은 라오스어에 가까운 이싼방언을 사용한다. 게중에는 타이 루에, 타이 담등 독자적인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언어도 있다.
* 북부의 치앙마이는 북부 태국어권이며, 이싼 지방과 마찬가지로 라오스어에 가까운 특징을 보이고, 과거에는 지금은 쓰이지 않는 독자적 문자를 사용하였다. 방콕의 태국어와는 다른 독특한 표현들이 많다.
4. 문자:
* 고 크메르문자를 참조하여, 수코타이 왕조의 람캄행 대왕이 창제하였다.
* 상하좌우에 위치하게 되는 모음부호는 중심이 되는 자음 하나에 최대 2개의 자음부호가 한 단위(음절)로 묶이게 되므로(기본자음자+상단표시모음+성조부호)타이 문자를 인터넷상에 표시 하는데 일정한 어려움이 있다.
* 범어계통 어휘의 어원성을 보존하기 위한 동음이형(同音異形)의 글자가 다소 존재.
* 태국어를 로마자로 옮길 경우 RTGS(Royal Thai General System of Transcription)라는 로마자 표기법에 의하는데, 발음과 철자상의 차이를 생략하고 기본자모로 간략하게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 대소문자의 구별은 없으며 띄어쓰기는 사용치 않는다.
월족 (越族)
월족 越族은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민족 한무제 이후 대부분 중국화하였다.
1. 고대 월족의 명칭
월족 越族은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민족으로 그 분파가 많고 분포 지역도 매우 광대하여 백월 百越이라 통칭하게 되었다. 백월이라는 말은 여씨춘추呂氏春秋, 시군람恃君覽에 처음으로 보인다.
사서에 보이는 백월계;
- 춘추시대: 우월于越,
- 전국시대: 양월揚越,
- 한대: 구월瓯越 · 민월闽越 · 남월(南越) · 낙월(駱越),
- 삼국시대: 산월 山越 (민월의 유민)
2. 관련 민족
월족은 중국의 다른 고대민족과 마찬가지로 다른 민족과 끊임없는 융화 과정을 거쳤다. 동한 삼국 시기에 이르러 월족은 점점 소멸되었지만, 수 당대의 문헌에 보이는 이족 俚族, 요족 僚族 등은 모두 고대 백월과 밀접한 연원 관계를 가지고 있다.
최종적으로 그들은 대부분 한족에 섞여버렸으며, 그 나머지 일부는 주로 지금의 남방 좡동어족(壯侗語族)에 속하는 소수민족이 되었다. 지금의 좡족 壯族, 다이족 傣族, 리족 黎族, 둥족 侗族, 수이족 水族, 무로족 仫佬族 등의 소수민족과 연원 관계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인 黎족 (111만명, 당나라 이전에는 俚 僚 로 불림) 역시 월족 (경족, 킨족)의 일파로 현재 베트남인의 큰 줄기를 이룬다. 현재 베트남어는 몽크메르어 계에 속하지만 몽골계의 후예인 북쪽의 월족(越族)과 남쪽의 크메르족이 결합된 나라다.
3. 월족의 분포
고고자료와 사서에 대한 고증을 거쳐 판단하면, 옛날의 월족은 어느 정도 다른 민족의 성분도 내포하고 있었지만 대부분은 그 지역의 원시 토착민에 의해 형성되었다. 월족은 분포 지역이 국내외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였는데, 주로 중국 동남부와 남부 지역에 분포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금의 소남(蘇南) · 상해(上海) · 절강(浙江) · 안휘(安徽) · 호북(湖北) · 호남(湖南) · 강서(江西) · 복건(福建) · 대만(臺灣) · 광동(廣東) · 광서(廣西) 등지는 모두 고대 백월인들이 거주하던 지역이다.
중국 외로는 베트남 북부의 광대한 지역까지 진출 하였다.
4. 월족의 문화
중국 최초로 벼를 재배한 민족이자 돼지를 사육한 민족 (절강성 여요余姚 하모도河姆渡 유적을 고증한 결과).
간란식(干欄式) 건물도 세계 최초
정밀하고 뛰어난 칼 주조 기술
물에 능숙하여 배를 만들고 부리는 데 뛰어났으며, 수군을 창시하고 항해 경험이 풍부
7. 서남공정
대규모의 월족을 세분화하여 소수 민족화하였다.
- 백월 百越 : 모든 월족의 통칭
- 우월 于越 : 춘추시대, 월나라를 세움
- 민월 閩越 : 진한시대, 복건성 연해,
- 구월 甌越 : 동구東甌, 절강 남부 연해
- 남월 南越 : 진한시대, 광동-광서 일대. 남월은 지금의 베트남의 선조가 되었지요. 나라명은 주로 '월' 이라 했구요. 군주와 장수들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습니다. 오나라 시기에는 군주는 알 수 없으나 '두령'으로 알려진 장수이자 두목에 해당하는 인원들이 여럿 있었습니다. 반림, 황난, 비잔 등이 있습니다. 육손과 종리매 등에 의해 토벌되었습니다.
- 산월 山越 : 삼국지에 나오는 오나라가 토벌한 종족. 그냥 월족이라고도 하죠. 이 월족은 시대를 변화하며 백월, 산월, 적월, 남월 등 다양한 종족명으로 불렀는데 오나라의 맨 동쪽 영토인 동쪽 해안가를 기점으로 거처했습니다.
좡족 壯族
1. 삶터
중국 남부, 주로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에 사는 소수민족.
중국 최대의 소수 민족으로 인구는 1800만 명으로 한족 다음으로 많다.
2. 명칭
Zhuang (웨) Chuang.
좡족의 원래 이름은 獞族 (퉁족, 동족) 이었으나, 글자 獞은 "야생 개과"를 뜻하는 멸시적인 뜻이 있어서, 1948년에 부수를 큰 개를 뜻하는 "犭"에서 사람을 뜻하는 "亻"으로 바꾸어 僮族 (동족) 이 되었다. 그 후 僮을 다시 壯(장) 으로 바꾸었는데, 壯은 억세고 강하다는 뜻이다.
3. 언어
한장 어계 > 좡동壮侗 어족 > 좡타이 어지
남북 2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1955년 라틴어 모음을 기초로 하여 좡족어 문자를 만들었다.
좡족은 북타이어계 언어를 사용하는 고도로 중국화한 민족이다.
4. 역사
타이족 또는 좡족 문화는 중국 쓰촨성 四川省과 양쯔강 하류 유역에서 발달하여, 약 2,500년 전 무렵에 지리적으로 가장 널리 퍼졌던 것으로 여겨짐.
중국 문화와 중국 제국이 발전함에 따라 타이 문화와 그 추종자들은 남쪽으로 밀려났다.
오늘날 이 고대민족의 문화를 계승한 후예들은 타이족 (타이), 라오족 (라오스), 샨족 (미얀마), 바이족 白族 (중국 윈난성 雲南省), 타이루족·-타이노이족 (중국 윈난성 雲南省), 부이족 布依族 (중국 구이저우성 貴州省), 좡족 (광시성 廣西省), 둥족 侗族 (중국 구이저우성 남동부) 등이다.
1953년에 중국 공산정권은 지방에서 지배적인 소수민족을 자치현이나 자치구로 조직했다. 그결과 윈난 성에는 다이족 자치현[族自治縣]이, 광시에는 좡족 자치구가 생겼다. 이 소수민족의 수는 1980년대초에 약 1,337만 8,000명으로 보고되었다.
전통적인 좡족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은 개울에 인접한 골짜기 땅을 선호하고, 물소나 황소를 이용하여 논농사를 지으며, 말뚝을 박은 다음 그 위에 지면과 닿지 않도록 집을 짓는 것 등이다. 중국 풍속과 다른 사회적 풍습으로는 혼전의 자유로운 성행위, 중매인이 없는 자유로운 연애결혼, 결혼한 신부가 첫 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것 등이 있다. 첫 아이를 낳아야 비로소 결혼이 완성되는 것으로 여긴다. 주술적 의식, 인형을 이용한 마법, 그리고 조상숭배도 좡족 문화의 독특한 요소들이다.
부이족 (布依族 포의족 Buyei)
중국 남서부에 약 283만명 거주 (2000년),
베트남에 소수 거주.
분류상 북부 타이계 좡족의 일파
자칭: Buxqyaix, Puzhong, Burao, Puman
타칭: Buyei (Puyi)
동족 侗族
둥족은 타이족과 같은 혈통인 좡족[壯族]에 속하며, 송대(宋代)에 처음으로 중국에 진출했다. 남서쪽으로 계속 이동해가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남하하는 몽골족에게 밀려난 것으로 짐작된다. 오늘날에는 주로 주민이 그다지 많지 않은 광시[廣西] 지방에서 푸이(타이)족과 영토를 공유하면서 살고 있다. 좡둥어족[壯侗語族]에 속하는 언어를 쓰며, 캄수이마크(Kam-Sui-Mak)라고 불리는 이들의 문자는 타이어와 관련이 깊다.
1978년 둥족의 인구는 구이저우 성 주민의 1/3에 해당하는 110만 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