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아프리카 인종과 언어 분포
아프리카에 사는 인종에 따른 언어
1. 백인 :
- 아프로아시아어족:셈어 군(아랍어), 베르베르어군
- 인도 유럽어족:아프리카너(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보어인)
2. 흑인 (니그로이드) :
- 니제르콩고어족 A: 요루바어, 이그보어, 만데어, 월로프어 등
-니제르콩고어족 B : 반투어
3. 황인 :
- 코이-산 어족 : 코이코이족(호텐토트), 산족(부쉬맨)
- 말레이 어족 (마다가스카르섬 주민)
4. 혼혈 :
-하우사족: 아프로아시아어족이나 니그로이드와 혼혈
-프라니족: 니그로 콩고어족이나, 검붉은 피부색, 직모, 높은코 등 외모상 코카시안네 가까움
- 기타 : 나일로사하라어족 등 많은 혼혈인이 존재
아프리카의 어족
1. 아프리카-아시아어 족 : 함-셈어족이라고도 함.
2. 인도-유럽 어족: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보어인
3. 나일-사하라어족 :
4. 니제르-콩고A 어족 ;니제르강 유역
5. 니제르-콩고B 어족 : 콩고강 유역 및 그 동남부
6. 코이-산어족 : 코이족(호텐토트) 및 산족(부쉬맨)
7. 오스트로-아시안 : 말라가시족 (마다가스카르 섬의 말레이족)
아프리카-아시아 어족 (함-셈 어족) :
6개 어군 (고대 이집트어, 베르베르어군, 셈어군, 쿠쉬어군, 차드어군, 오모어군)
나일강과 홍해 사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 됨.
- 고대 이집트어 : 사멸
- 베르베르어군 : 아프리카 북부 아틀라스 산맥에서 농경을 하던 민족
베르베르어 (북아프리카에서 폭넓게 사용, 어휘의 60%를 아랍어에서 차용)
투아레그어 (알제리, 니제르등지에서 사용, 고립된 유목민의 언어),
- 셈어군 ; 아랍어, 이디오피아어 (암하리어), 티그리냐어, 히브리어(이스라엘) 등
- 쿠쉬어군 ; 소말리아어, 갈라어, 지부티어
- 차드어군 ; 하우사어 등 125개 언어 (나이지리아, 카메룬, 차드, 중앙아프리카, 니제르 등지에서 사용)
- 오모어군 ; 오모어 (오모강 유역)
나일-사하라 어족
기원전 500년 초부터 남부 수단에서 주변으로 이동
- 동부 수단어; 베르타족,쿠나마족,딩카족(수단남부),아촐리족(우간다),칼레진족,마사이족
- 중부 수단어 ; 모루족, 마디족, 망베투족
- 북부 지역어 ; 송하이어, 누비아어, 카누리어
니제르-콩고어족
- 서대서양-어군 : 플라니어(외모는 유럽 인종에 가까움), 울로프어,
- 만데-어군 : 밤바라족(말리), 말링케족(말리), 소닝케족(말리), 카쏭크족(말리)
-볼타어군
- 꾸아어군(Kwa)
- 아마다와 우방기어군
-베누에콩고어군
-코르도판어족 (수단의 코르도판지역 언어)
코이-산 어족 :
코이족 및 산족은 인종적 언어적으로 밀접하나, 생활방식이 다름
노란색 피부,흡기음을 사용
남부 아프리카에 정착한 최초의 민족,
약 1세기경 철기 농경 문화를 지닌 반투족에게 밀려잠베지강 부근에서 남아프리카로 이동
- 코이코이족 (호텐토트) - 유목 목축생활
- 산족 (부시맨) - 수렵채집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