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상식/건강상식

혀의 상태와 색깔로 건강 체크

그리스도의 군사 2015. 9. 12. 20:15
 
 


 

신체의 위험부 <코, 목>
혀의 상태
  1. 얇은 백태를 뛰고 있음
  2. 혀의 크기가 살빡 부풀어 있음.
  3. 혀 주위가 울퉁불퉁 함.
  4. 곳곳에 붉은 반점이 있음.
 
 
몸의 기운이 빠져 허약한 샹태로 몸이 차가워지기 쉽습니다.
갑기에 쉽게 걸릴 수 있으니 차가운 음식을 자제하고 몸의 기력을 찾고 병균의 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당한 운동을 시작해 보세요.​
 
 

 
 
​신체 위험 부위 <코, 목, 두통, 신경계>
혀의 상태
  1. 설태가 두꺼움.
  2. 혀 주변이 붉은색을 띔.
신체 표면은 차가운 반면 몸 안은 열로 가득찬 상태입니다.
여름철 습도가 높은 시기에 자주 보이며,
1) 감기, 기침, 가래가 심할 때나
​2) 자율신경이 밸런스 붕괴
3) 잠을 못 자거나 불안한 상태일 때 흔히 나타납니다.
 
​에어컨 설정 온도 및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취침할 수 있도록 잠자리를 조절합니다.
 
 
 
 
 
신체 위험부위 <배, 대장, 위, 근육>
 
 
 
혀의 상태
 
  1. 혀가 많이 부풀어 있음.
  2. 혀 주위가 울퉁불퉁함.
  3. 설태가 두껍게 흰색임.
 
 
허약한 체질이거나, 수독증이 있는 상태입니다.
 
혹은 차가운 음식물이 과다 섭취로 체내의 과도한 양의 수분이
모여 식욕부진, 설사 무기력증의 피로를 보입니다.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1주일에 1번은 족욕이나 사우나를 하고 배를 따뜻하게 해줘야 합니다.
체내에 쌓인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간단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 위험부위 <머리, 대장, 위>
 
 
 
혀의 상태
 
  1. 혀의 색이 보라색.
  2. 설태가 매우 얇음.
  3. 혀의 갈라진 부분이 많음.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신경쇠약인 상태입니다.
체내의 혈약 점성이 높아져 걸쭉하게 되고,
신진대사 기능이 떨어지며 두통, 현기증, 변비, 불면증 등이 나타납니다.
독서, 명상, 요가 등 스트레스 해소 및 심적 안정을 위한 방법을 찾아
스트레스를 낮춰보세요.
 
 
 
 
 
 
 
 
신체 위험부위 <위, 장, 간>
 
 
 
혀의 상태
 
 
  1. 혀가 많이 부풀어 있음.
  2. 혀 주위가 울퉁불퉁함.
  3. 설태가 노란색을 띠며 두꺼움.
 
소화계 기관에 문제가 있는 상태입니다.
만성위염, 지방간, 알레르기성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어요.
특히 속 쓰림이 심하고 입 냄새가 나며, 입이 자주 마르는 경우
소화계 기관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매운 것, 기름진 것, 밀가루 음식에 주의하고 관식, 음주 등
소화계 기관에 부담을 주는 행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 위험부위 <신경, 두통>
 
 
 
혀의 상태
 
  1. 혀에 빨간 돌기가 있어 딸기처럼 보임.
 
 
불안 신경증, 불면증 등 정신적인 밸런스 유지가힘들어진 상태입니다.
 
특히 여성은 자율 신경계 문제나 갱년기일 때 많이 보입니다.
 
활동성과 함께 심적 안정을 도모하는 취미를 가지거나
적당한 운동을 하면서 심리적 밸런스를 맞춰보세요
 
 
 
 
 
 
 
 
 
 
신체 위험부위 <위, 장, 손, 발>
 
 
혀의 상태
 
  1. 혀의 색이 보라색
  2. 설태가 매우 얇음,
  3. 혀의 갈라진 부분이 많음.
 
 
지도혀라고 하며, 위장이 약하고 몸 안에 열이 쌓여
몸의 영양 균형이 깨진 상태입니다.
 
알레르기 체질이나 체내 비타민, 단백질 등 영양소 결핍이 주 원인인데요
소화불량, 만성설사, 습진 등의 질환을 유발합니다.
 
영양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 비타민이나 영양제를 먹거나,
규칙적인 식사를 통해 영양 균형을 맡추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 위험부위 <코, 다리, 요도, 손, 발>
 
 
 
 
혀의 상태
 
  1. 혀가 많이 부어있음.
  2. 짙은 붉은색을 뜀.
  3. 혀 전체에 투명한 점액이 있음.
 
수분대사 장애, 만성기관지염, 천식이 있는 상태입니다.
 
보통 다리가 자주 붓고, 소변을 잘 보며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을 가진 특징이 있어요.
체질적으로 찬 유형을 가진 사람에게 많이 보이므로
차가운 것은 최대한 피하고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차가운 물 대신, 차를 마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혀의 상태와 색깔로 보는 건강 상태
 
 
 
 출처 서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