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학습/헬리어

헬라어 문법 정리

그리스도의 군사 2015. 10. 5. 00:01

 

 

헬라어 문법 정리

⑴현재 능동태 직설법 : 단수 - ω, εις, ει, 복수 - ομεν, ετε, ουσι(ν)

⑵제2변화 명사 : 남성 - ος, ου, ῳ, ον, οι, ων, οις, ους, 중성 - ον, ου, ῳ, ον, α, ων, οις, α

⑶제1변화 명사 : 여성 - α, ας, ᾳ, αν, αι, ων, αις, ας → α 바로 앞의 어휘가 ε,ι,ρ로 끝나는 단어

α, ης, ῃ, αν, αι, ων, αις, ας → α 바로 앞의 어휘가 ε,ι,ρ 이외로 끝나는 단어. η, ης, ῃ, ην, αι, ων, αις, ας

⑷형용사 - 명사 변화와 같다. 다만 여성은 η로 끝나는 단어의 변화를 따른다.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해야 한다.

①형용적 용법 - 관사 + 형용사 + 명사 or 명사 + 관사 + 형용사 → 형용사 앞에 반드시 관사가 있다

②서술적 용법 - 동사 역할을 하는 형용사 :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다. 문장에 동사도 없다.

③독립적 용법 - 명사 역할을 한다. 특히 관사와 함께 많이 쓰인다. - 형용적, 서술적 용법외

⑸관사 - 명사의 어미변화를 따르며 어미 변화 앞에 τ를 붙인다. 다만 중성 목적격은 το이며, 주격 ①남성, 여성, 중성의 단수, 복수는 다음과 같다. ὁ, ἡ, το, οἱ, αἱ, τα

②여성, 복합 변화하는 남성명사 - προφητης, μαθητης → ης, ου, ῃ, ην, αι, ων, αις, ας

⑹대명사

①1인칭 대명사 - εγω, (ε)μου, (ε)μοι, (ε)με, ἡμεις, ἡμων, ἡμιν, ἡμας

②2인칭 대명사 - συ, σου, σοι, σε, ὑμεις, ὑμων, ὑμιν, ὑμας

③3인칭 대명사 - 명사변화를 따르며 어미 변화 앞에 αυτ를 붙인다. 다만 중성 단수 주격과 목적격이 αυτον이 아니라 αυτο이다.

④대명사는 선행사와 성과 수에 있어서 일치해야 한다. 인칭대명사의 주격은 강조하는 경우 외에는 쓰지 않는다.

⑤ειμι의 현재 직설법 ειμι, ει, εστι(ν), εσμεν, εστε, εισι(ν)

⑥지시대명사(οὑτος이, εκεινος저) - 명사변화에 준하여 변화한다.

⑦남성 - οὗτος, τουτου, τουτῳ, τουτον, οὗτοι, τουτων, τουτοις, τουτους,

⑧여성 - αὑτη, ταυτης, ταυτῃ, ταυτην, αὑται, τουτων, ταυταις, ταυτας

⑨중성 - τουτο, τουτου, τουτῳ, τουτο, ταυτα, τουτων, τουτοις, ταυτα

⑺αυτος의 용법

①강의적 용법 : 관사 없는 서술적 위치 - 사도 자신, 교회 자체 등등

②관사를 가진 형용적 위치 - 같은, 바로 그

③강의적 용법 : αυτος+인칭대명사, αυτος+동사에 들어있는 인칭 = 인칭 자신

⑻현재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 - ομαι, ῃ, εται, ομεθα, εσθε, ονται

①수단과 방법으로 쓰이는 여격 - 아무 전치사도 없는 단순한 여격은 수단이나 방편으로 쓰인다.

②디포넌트 동사 - 능동형이 없고 중간태나 수동태의 형을 가지고 능동의 뜻을 표현하는 동사

③합성동사 - 전치사를 동사와 결합시켜 합성동사를 이룬다.

⑼미완료과거 능동태 직설법 : 어미변화 - ον, ες, ε(ν), ομεν, ετε, ον

① 어간이 자음으로 시작할 때 어간의 앞에 ε만 붙인다.

②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할 때 그 모음을 장모음으로 바꾼다. but, α는 η로 바꾼다.

③ 합성동사는 ‘전치사 + ε + 동사’의 형태로 한다. ειμι의 미완료과거 직설법 : ημην, ης, ην, ημεν, ητε, ησαν

⑽미완료과거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 : ομην, ου, ετο, ομεθα, εσθε, οντο, 그리고 어간에 ε를 붙인다. 중성 복수 주격은 단수 동사를 취할 수 있다.

⑾미래 능동태 및 중간태 직설법 : 현재 능동태 및 중간태 어미 변화 앞에 σ를 붙인다.

① π, β, φ가 σ와 겹치면 이중 자음 ψ가 된다.

② κ, γ, χ가 σ와 겹치면 이중 자음 ξ가 된다.

③ τ, δ, θ가 σ와 겹치면 바로 그 τ, δ, θ자가 없어진다.

⑿제1부정과거 능동태 및 중간태 직설법 : 어간에 ε를 붙인다.

능동태 : σα, σας, σε(ν), σαμεν, σατε, σαν 중간태 : σαμην, σω, σατο, σαμεθα, σασθε, σαντο 동사 πιστευω(내가 믿다)는 여격을 취한다.

⒀제2부정과거 능동태 및 중간태 직설법 : 어간에 ε를 붙인다.

능동태 : ον, ες, ε(ν), ομεν, ετε, ον, 중간태 : ομην, ου, ετο, ομεθα, εσθε, οντο - 몸통이 불규칙으로 변한다.

⒁부정과거 수동태 직설법 및 미래 수동태 직설법 : 과거는 어간에 ε를 붙인다.

①부정과거 수동태 : θην, θης, θη, θημεν, θητε, θησαν

②미래 수동태 : θησομαι, θησῃ, θησεται, θησομεθα, θησεσθε, θησονται → 현재 중간태 어미앞에 θησ를 붙인다.

③부정과거 수동태 시상접미 θ앞에 동사의 끝자음으로 π나 β가 오면 φ로, κ나 γ는 χ로, τ나 δ나 θ는 σ로 변한다.

④제2부정과거 수동태 : 어떤 동사는 θ가 빠진 부정과거 수동형 변화를 기지고 있는데, 이것을 제2부정과거 수동태라고 한다.

⒂제 3변화 또는 자음 변화 명사 제 3변화 명사 : ς, ος, ι, α, ες, ων, σι, ας

①복수 여격에서 명사 어간의 끝자음이 격어미인 σι와 결합할 때 여러 가지 변동을 가져오나 ντ같은 두 자음은 σ앞에서 없어지고, 그 대신 앞모음은 길어지고(장음), ο은 ου로 길어지며, 그 외에는 거의 13과의 변화와 같이 변한다.

②μα로 마치는 명사는 모두 중성이다. : μα, ματος, ματι, μα, ματα, ματων, μασι(ν), ματα

⒃현재분사, 분사의 용법 - 주동사의 시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현재 분사는 문장의 주동사와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동작을 묘사하는데 사용된다.

현재 능동태 분사 :

①남성 - ων, οντος, οντι, οντα, οντες, οντων, ουσι(ν), οντας

②여성 - ουσα, ουσης, ουσῃ, ουσαν, ουσαι, ουσων, ουσαις, ουσας

③중성 - ον, οντος, οντι, ον, οντα, οντων, ουσι(ν), οντα

현재 중간태, 수동태 분사 : 명사의 변화 어미 앞에 ομεν을 붙인다.

①서술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없다. 의미상의 주어를 찾아야 한다. ~하면서, ~하고 있을 때, ~당하면서, ~당하고 있을 때

②형용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있다. ~하고 있는, ~하는, ~되고 있는, ~되는.

③독립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있으나, 앞 뒤에 수식하는 명사가 없다. 성수격에 따라 직역하여 적용한다.

⒄부정과거 분사의 능동태와 중간태, 분사의 용법 계속

①제1부정과거 능동태 분사 : 남성 - σας, σαντος, σαντι, σαντα, σαντες, σαντων, σασι(ν), σατας

②제1부정과거의 표식 σα 여성 - σασα, σασης, σασῃ, σασαν, σασαι, σασων, σασαις, σασας

중성 - σαν, σαντος, σαντι, σαν, σαντα, σαντων, σασι(ν), σατα

③제1부정과거 중간태 분사 : 명사의 변화 어미 앞에 σαμεν를 붙인다.

④제2부정과거 능동태 분사 : 현재 능동태 분사와 똑같이 변한다. 어간이 불규칙적이다.

⑤제2부정과거 중간태 분사 : 현재 중간태 분사와 똑같이 변한다, 현재분사는 현재어간에, 제2부정과거 분사는 제2부정과거 어간에 형성된다.

⑥부정과거의 시상은 과거, 현재, 미래를 막론하고 주동사의 시상보다 시간적으로 앞선 동작을 표현한다.

⑦οὐ는 직설법의 부정어이고 μή는 부정사와 분사를 포함한 직설법 이외의 법의 부정어이다.

⒅부정과거 수동태 분사, 독립 소유격

①부정과거 수동태 분사 : 남성 - θεις, θεντος, θεντι, θεντα, θεντες, θεντων, θεισι(ν), θεντας

여성 - θεισα, θεισης, θεισῃ, θεισαν, θεισαι, θεισων, θεισαις, θεισας

중성 - θεν, θεντος, θεντι, θεν, θεντα, θεντων, θεισι(ν), θεντα

②독립 소유격 : 명사나 대명사의 소유격이 관사 없는 분사와 함께 문장의 다른 부분과 관계없이 ③독립적으로 문장을 구성할 때가 있다. - 어디까지나 분사와 함께 나오는 명사나 대명사가 주문장의 주어와 다를 때에만 사용 가능한 것이다.

⒆가정법

현재 능동태 가정법 : ω, ῃς, ῃ, ωμεν, ητε, ωσι(ν)

①현재 중간태(수동태) 가정법 : ωμαι, ῃ, ηται, ωμεθα, ησθε, ωνται

②제1부정과거 능동태 가정법 : σω, σῃς, σῃ, σωμεν, σητε, σωσι(ν)

③제1부정과거 중간태 가정법 : σωμαι, σῃ, σηται, σωμεθα, σησθε, σωνται

④제2부정과거 능동태와 중간태 가정법: 제1부정과거 가정법과 똑같이 변화한다. 어간은 제2부정과거 어간에 형성

⑤부정과거 수동태 가정법 : θώ, θῇς, θῇ, θώμεν, θήτε, θώσι(ν)

⑥ειμι의 현재 가정법 : ὦ, ᾖς, ᾖ, ὦμεν, ἦτε, ὦσι(ν)

⑦현재 가정법 : 동작의 계속이나 반복 개념이 있을 때 사용, 부정과거 가정법:계속이나 반복관념 없이 1회적 동작을 표현하고자 할 때 쓰인다.

⑧ου μη : 가정법에서 미래에 대한 강한 부정으로 사용된다. 가정법의 1인칭 복수는 권고로 쓰인다.

⑨목적에 쓰이는 가정법 : 목적은 ἵνα + 가정법으로 표현한다.

⑩미래 조건으로 쓰이는 가정법 : 미래 조건은 εαν + 가정법을 쓰고, 기타 조건은 ει + 직설법을 쓴다.

⑪사실과 반대되는 조건문은, ει + 제2시상 직설법을 쓴다.

⒇현재 및 부정과거 부정사, 관사 + 부정사, 간접 설화, 고유 명사

①현재 부정사 : 능동-ειν, 중간-εσθαι, 수동-εσθαι 행동의 계속이나 반복개념이 있다.

②부정과거 부정사 : 능동-σαι, 중간-σασθαι, 수동-θηναι 단순한 부정적 동작을 표현

③ειμι의 현재 부정사 : ειναι

④부정사는 동사에서 나온 명사이므로 다른 명사처럼 관사를 위하며, 불변하는 중성 명사처럼 중성관사를 취한다

⑤관사를 가진 부정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부정사의 주어에는 목적격이 사용된다.

⑥간접 설화는 가끔 목적격 + 부정사로 표현한다. 그러나 간접설화는 보통 ὅτι + 직설법으로 표현한다.

(21)단축동사

α

α + ο = ω

α + ου = ω

α + ω = ω

α + ε = α

α + ει = ᾳ

α + η = α

α + ῃ = ᾳ

ε

ε + ο = ου

ε + ου = ου

ε + ω = ω

ε + ε = ει

ε + ει = ει

ε + η = η

ε + ῃ = ῃ

ο

ο + ο = ου

ο + ου = ου

ο + ω = ω

ο + ε = ου

ο + ει = οι

ο + η = ω

ο + ῃ = οι

 


두 개의 예외가 나타나는데 -αω동사의 현재 능동태 부정사가 α+ειν=-άν,

-οω동사의 현재 능동태 부정사가 ο+ειν=-ούν이 된 것이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는 규칙적으로 동사의 시상접미, 곧 미래의 -σο/ε, 제1부정과거의 -σα, 부정과거 수동태의 -θε 앞에서 길어지는데, α는 η로 길어진다.


 
//

 

출처 :

헬라어 문법 정리

⑴현재 능동태 직설법 : 단수 - ω, εις, ει, 복수 - ομεν, ετε, ουσι(ν)

⑵제2변화 명사 : 남성 - ος, ου, ῳ, ον, οι, ων, οις, ους, 중성 - ον, ου, ῳ, ον, α, ων, οις, α

⑶제1변화 명사 : 여성 - α, ας, ᾳ, αν, αι, ων, αις, ας → α 바로 앞의 어휘가 ε,ι,ρ로 끝나는 단어

α, ης, ῃ, αν, αι, ων, αις, ας → α 바로 앞의 어휘가 ε,ι,ρ 이외로 끝나는 단어. η, ης, ῃ, ην, αι, ων, αις, ας

⑷형용사 - 명사 변화와 같다. 다만 여성은 η로 끝나는 단어의 변화를 따른다.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해야 한다.

①형용적 용법 - 관사 + 형용사 + 명사 or 명사 + 관사 + 형용사 → 형용사 앞에 반드시 관사가 있다

②서술적 용법 - 동사 역할을 하는 형용사 :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다. 문장에 동사도 없다.

③독립적 용법 - 명사 역할을 한다. 특히 관사와 함께 많이 쓰인다. - 형용적, 서술적 용법외

⑸관사 - 명사의 어미변화를 따르며 어미 변화 앞에 τ를 붙인다. 다만 중성 목적격은 το이며, 주격 ①남성, 여성, 중성의 단수, 복수는 다음과 같다. ὁ, ἡ, το, οἱ, αἱ, τα

②여성, 복합 변화하는 남성명사 - προφητης, μαθητης → ης, ου, ῃ, ην, αι, ων, αις, ας

⑹대명사

①1인칭 대명사 - εγω, (ε)μου, (ε)μοι, (ε)με, ἡμεις, ἡμων, ἡμιν, ἡμας

②2인칭 대명사 - συ, σου, σοι, σε, ὑμεις, ὑμων, ὑμιν, ὑμας

③3인칭 대명사 - 명사변화를 따르며 어미 변화 앞에 αυτ를 붙인다. 다만 중성 단수 주격과 목적격이 αυτον이 아니라 αυτο이다.

④대명사는 선행사와 성과 수에 있어서 일치해야 한다. 인칭대명사의 주격은 강조하는 경우 외에는 쓰지 않는다.

⑤ειμι의 현재 직설법 ειμι, ει, εστι(ν), εσμεν, εστε, εισι(ν)

⑥지시대명사(οὑτος이, εκεινος저) - 명사변화에 준하여 변화한다.

⑦남성 - οὗτος, τουτου, τουτῳ, τουτον, οὗτοι, τουτων, τουτοις, τουτους,

⑧여성 - αὑτη, ταυτης, ταυτῃ, ταυτην, αὑται, τουτων, ταυταις, ταυτας

⑨중성 - τουτο, τουτου, τουτῳ, τουτο, ταυτα, τουτων, τουτοις, ταυτα

⑺αυτος의 용법

①강의적 용법 : 관사 없는 서술적 위치 - 사도 자신, 교회 자체 등등

②관사를 가진 형용적 위치 - 같은, 바로 그

③강의적 용법 : αυτος+인칭대명사, αυτος+동사에 들어있는 인칭 = 인칭 자신

⑻현재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 - ομαι, ῃ, εται, ομεθα, εσθε, ονται

①수단과 방법으로 쓰이는 여격 - 아무 전치사도 없는 단순한 여격은 수단이나 방편으로 쓰인다.

②디포넌트 동사 - 능동형이 없고 중간태나 수동태의 형을 가지고 능동의 뜻을 표현하는 동사

③합성동사 - 전치사를 동사와 결합시켜 합성동사를 이룬다.

⑼미완료과거 능동태 직설법 : 어미변화 - ον, ες, ε(ν), ομεν, ετε, ον

① 어간이 자음으로 시작할 때 어간의 앞에 ε만 붙인다.

②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할 때 그 모음을 장모음으로 바꾼다. but, α는 η로 바꾼다.

③ 합성동사는 ‘전치사 + ε + 동사’의 형태로 한다. ειμι의 미완료과거 직설법 : ημην, ης, ην, ημεν, ητε, ησαν

⑽미완료과거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 : ομην, ου, ετο, ομεθα, εσθε, οντο, 그리고 어간에 ε를 붙인다. 중성 복수 주격은 단수 동사를 취할 수 있다.

⑾미래 능동태 및 중간태 직설법 : 현재 능동태 및 중간태 어미 변화 앞에 σ를 붙인다.

① π, β, φ가 σ와 겹치면 이중 자음 ψ가 된다.

② κ, γ, χ가 σ와 겹치면 이중 자음 ξ가 된다.

③ τ, δ, θ가 σ와 겹치면 바로 그 τ, δ, θ자가 없어진다.

⑿제1부정과거 능동태 및 중간태 직설법 : 어간에 ε를 붙인다.

능동태 : σα, σας, σε(ν), σαμεν, σατε, σαν 중간태 : σαμην, σω, σατο, σαμεθα, σασθε, σαντο 동사 πιστευω(내가 믿다)는 여격을 취한다.

⒀제2부정과거 능동태 및 중간태 직설법 : 어간에 ε를 붙인다.

능동태 : ον, ες, ε(ν), ομεν, ετε, ον, 중간태 : ομην, ου, ετο, ομεθα, εσθε, οντο - 몸통이 불규칙으로 변한다.

⒁부정과거 수동태 직설법 및 미래 수동태 직설법 : 과거는 어간에 ε를 붙인다.

①부정과거 수동태 : θην, θης, θη, θημεν, θητε, θησαν

②미래 수동태 : θησομαι, θησῃ, θησεται, θησομεθα, θησεσθε, θησονται → 현재 중간태 어미앞에 θησ를 붙인다.

③부정과거 수동태 시상접미 θ앞에 동사의 끝자음으로 π나 β가 오면 φ로, κ나 γ는 χ로, τ나 δ나 θ는 σ로 변한다.

④제2부정과거 수동태 : 어떤 동사는 θ가 빠진 부정과거 수동형 변화를 기지고 있는데, 이것을 제2부정과거 수동태라고 한다.

⒂제 3변화 또는 자음 변화 명사 제 3변화 명사 : ς, ος, ι, α, ες, ων, σι, ας

①복수 여격에서 명사 어간의 끝자음이 격어미인 σι와 결합할 때 여러 가지 변동을 가져오나 ντ같은 두 자음은 σ앞에서 없어지고, 그 대신 앞모음은 길어지고(장음), ο은 ου로 길어지며, 그 외에는 거의 13과의 변화와 같이 변한다.

②μα로 마치는 명사는 모두 중성이다. : μα, ματος, ματι, μα, ματα, ματων, μασι(ν), ματα

⒃현재분사, 분사의 용법 - 주동사의 시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현재 분사는 문장의 주동사와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동작을 묘사하는데 사용된다.

현재 능동태 분사 :

①남성 - ων, οντος, οντι, οντα, οντες, οντων, ουσι(ν), οντας

②여성 - ουσα, ουσης, ουσῃ, ουσαν, ουσαι, ουσων, ουσαις, ουσας

③중성 - ον, οντος, οντι, ον, οντα, οντων, ουσι(ν), οντα

현재 중간태, 수동태 분사 : 명사의 변화 어미 앞에 ομεν을 붙인다.

①서술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없다. 의미상의 주어를 찾아야 한다. ~하면서, ~하고 있을 때, ~당하면서, ~당하고 있을 때

②형용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있다. ~하고 있는, ~하는, ~되고 있는, ~되는.

③독립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있으나, 앞 뒤에 수식하는 명사가 없다. 성수격에 따라 직역하여 적용한다.

⒄부정과거 분사의 능동태와 중간태, 분사의 용법 계속

①제1부정과거 능동태 분사 : 남성 - σας, σαντος, σαντι, σαντα, σαντες, σαντων, σασι(ν), σατας

②제1부정과거의 표식 σα 여성 - σασα, σασης, σασῃ, σασαν, σασαι, σασων, σασαις, σασας

중성 - σαν, σαντος, σαντι, σαν, σαντα, σαντων, σασι(ν), σατα

③제1부정과거 중간태 분사 : 명사의 변화 어미 앞에 σαμεν를 붙인다.

④제2부정과거 능동태 분사 : 현재 능동태 분사와 똑같이 변한다. 어간이 불규칙적이다.

⑤제2부정과거 중간태 분사 : 현재 중간태 분사와 똑같이 변한다, 현재분사는 현재어간에, 제2부정과거 분사는 제2부정과거 어간에 형성된다.

⑥부정과거의 시상은 과거, 현재, 미래를 막론하고 주동사의 시상보다 시간적으로 앞선 동작을 표현한다.

⑦οὐ는 직설법의 부정어이고 μή는 부정사와 분사를 포함한 직설법 이외의 법의 부정어이다.

⒅부정과거 수동태 분사, 독립 소유격

①부정과거 수동태 분사 : 남성 - θεις, θεντος, θεντι, θεντα, θεντες, θεντων, θεισι(ν), θεντας

여성 - θεισα, θεισης, θεισῃ, θεισαν, θεισαι, θεισων, θεισαις, θεισας

중성 - θεν, θεντος, θεντι, θεν, θεντα, θεντων, θεισι(ν), θεντα

②독립 소유격 : 명사나 대명사의 소유격이 관사 없는 분사와 함께 문장의 다른 부분과 관계없이 ③독립적으로 문장을 구성할 때가 있다. - 어디까지나 분사와 함께 나오는 명사나 대명사가 주문장의 주어와 다를 때에만 사용 가능한 것이다.

⒆가정법

현재 능동태 가정법 : ω, ῃς, ῃ, ωμεν, ητε, ωσι(ν)

①현재 중간태(수동태) 가정법 : ωμαι, ῃ, ηται, ωμεθα, ησθε, ωνται

②제1부정과거 능동태 가정법 : σω, σῃς, σῃ, σωμεν, σητε, σωσι(ν)

③제1부정과거 중간태 가정법 : σωμαι, σῃ, σηται, σωμεθα, σησθε, σωνται

④제2부정과거 능동태와 중간태 가정법: 제1부정과거 가정법과 똑같이 변화한다. 어간은 제2부정과거 어간에 형성

⑤부정과거 수동태 가정법 : θώ, θῇς, θῇ, θώμεν, θήτε, θώσι(ν)

⑥ειμι의 현재 가정법 : ὦ, ᾖς, ᾖ, ὦμεν, ἦτε, ὦσι(ν)

⑦현재 가정법 : 동작의 계속이나 반복 개념이 있을 때 사용, 부정과거 가정법:계속이나 반복관념 없이 1회적 동작을 표현하고자 할 때 쓰인다.

⑧ου μη : 가정법에서 미래에 대한 강한 부정으로 사용된다. 가정법의 1인칭 복수는 권고로 쓰인다.

⑨목적에 쓰이는 가정법 : 목적은 ἵνα + 가정법으로 표현한다.

⑩미래 조건으로 쓰이는 가정법 : 미래 조건은 εαν + 가정법을 쓰고, 기타 조건은 ει + 직설법을 쓴다.

⑪사실과 반대되는 조건문은, ει + 제2시상 직설법을 쓴다.

⒇현재 및 부정과거 부정사, 관사 + 부정사, 간접 설화, 고유 명사

①현재 부정사 : 능동-ειν, 중간-εσθαι, 수동-εσθαι 행동의 계속이나 반복개념이 있다.

②부정과거 부정사 : 능동-σαι, 중간-σασθαι, 수동-θηναι 단순한 부정적 동작을 표현

③ειμι의 현재 부정사 : ειναι

④부정사는 동사에서 나온 명사이므로 다른 명사처럼 관사를 위하며, 불변하는 중성 명사처럼 중성관사를 취한다

⑤관사를 가진 부정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부정사의 주어에는 목적격이 사용된다.

⑥간접 설화는 가끔 목적격 + 부정사로 표현한다. 그러나 간접설화는 보통 ὅτι + 직설법으로 표현한다.

(21)단축동사

α

α + ο = ω

α + ου = ω

α + ω = ω

α + ε = α

α + ει = ᾳ

α + η = α

α + ῃ = ᾳ

ε

ε + ο = ου

ε + ου = ου

ε + ω = ω

ε + ε = ει

ε + ει = ει

ε + η = η

ε + ῃ = ῃ

ο

ο + ο = ου

ο + ου = ου

ο + ω = ω

ο + ε = ου

ο + ει = οι

ο + η = ω

ο + ῃ = οι

 


두 개의 예외가 나타나는데 -αω동사의 현재 능동태 부정사가 α+ειν=-άν,

-οω동사의 현재 능동태 부정사가 ο+ειν=-ούν이 된 것이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는 규칙적으로 동사의 시상접미, 곧 미래의 -σο/ε, 제1부정과거의 -σα, 부정과거 수동태의 -θε 앞에서 길어지는데, α는 η로 길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