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라어 어형변화 - 격, 명사, 보어, 정관사, 접속사
헬라어 명사에 있어서 어형변화 inflection 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명사의 어형변화는 격변화 declension 로 불린다. 제 2 어형변화의 명사들을 먼저 공부하는 이유는 이것이 보다 규칙적이고, 이 어형변화가 신약 성경 명사들 중 가장 큰 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1. 헬라어의 격(格) Introducing the Greek Cases
그것이 발견되는 곳에서 어떤 형태의 표현이든지, 명사 (또는 대명사)는 그 주의의 다른 낱말들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관계는 우리가 전달하기 원하는 의미에 의해 결정된다. “Men see apostles, 사람들이 사도들을 보고 있다”와 “Apostles see men, 사도들이 사람들을 보고 있다”는 꼭 같은 낱말들을 담고 있지만, 각 문장 안에서 동사 “see, 보고 있다”에 대한 명사들인 “men, 사람들”과 “apostles, 사도들”의 관계에 의해 보여진 그 의미는 정반대이다. 보통 영어에서 이 관계는 낱말의 순서에 의해 보여진다: 형태에 있어서 어떤 변화도 없이, 주어는 동사에 앞서며, 목적어는 동사의 뒤에 온다. 헬라어에서는 낱말의 순서가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법적인 관계들은 그 명사들에 적용된 특정한 접미사들에 의해 보여진다. 만일 어떤 명사가 동사의 주어라면 (즉, 단순한 영어 문장에서 그것이 동사의 앞에 올 때), 헬라어에서 그것은 반드시 고유한 접미사를 가진 주격 nominative case 이 되어야만 한다. 만일 그것이 동사의 목적어라면 (즉, 영어에서 그것이 동사 뒤에 올 때), 헬라어에서 그것은 대격 accusative case 이다. 그러므로 “Men see apostles, 사람들이 사도들을 보고 있다”는 νθρωποι βλπουσιν ποστλους 가 될 것이다. 여기에서 접미사 -οι (주격 복수)와 -ους (목적격 복수)는 각각 주어와 목적어를 나타낸다. 헬라어에서 격(格)은 영어에서처럼 문장의 의미를 결정하는 낱말들의 순서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주어가 항상 동사의 앞에서 발견되지 않을 것이고, 목적어가 항상 동사의 뒤에서 발견되지도 않을 것이다. 헬라어에서는 낱말이 주어 또는 목적어인지를 결정하는 격(格) 형태 case form 가 있다.
헬라어는 네 기본 격(格)들이 있다:
⑴ 주격 nominative 으로, 주어 subject 를 나타낸다 (“Men see apostles, 사람들이 사도들을 보고 있다”)
⑵ 속격 genitive 으로, 소유주 possessor 를 나타낸다 (“The wisdom of men, 사람들의 지혜”)
⑶ 여격 dative 으로, 간접 목적어 indirect object 를 나타낸다 (“He gave gifts to men, 그가 사람들에게 선물들을 주었다”)
⑷ 대격 accusative 으로, 목적어 object 를 나타낸다 (“Apostles see men, 사도들이 사람들을 보고 있다”)
불려진 addressed (“Forwad, men!, 앞으로, 사람들이여!”) 사람 또는 사물을 나타내는 호격 vocative 은 그리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영어에서, 명사들의 어미들 중 유일하게 잔존하고 있는 격은 여격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men’s 사람들의, boy’s 소년의). 다른 경우에 명사의 기능은 (“Men see apostles, 사람들이 사도들을 보고 있다”와 “Apostles see men, 사도들이 사람들을 보고 있다”에서처럼) 그것의 위치에 의해서 아니면 전치사에 의해 보여진다: (속격을 위한) “The wisdom of men, 사람들의 지혜” 또는 (여격을 위한) “He gave gifts to men, 그가 사람들에게 선물들을 주었다.” 영어에서는 우리가 또한 같은 의미로 “Men’s wisdom, 사람들의 지혜”와 “He gave men gifts, 그가 사람들에게 선물들을 주었다”로 말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라.
1) 하나의 격(格)에 대한 전치사들 Prepositions with one Case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전치사 preposition 는 “I go into the church, 내가 그 교회 안으로 들어간다”에서처럼, 문장 안에서 어떤 다른 낱말에 대한 명사의 관계를 분명히 하기 위해 명사 (또는 대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낱말이다. 전치사들은 항상 명사 앞에 위치한다 (그래서 그 이름이 “pre-position, 앞쪽에 있는-위치”이다). 영어에서는, 오직 형태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 대명사들에 대해서 이기는 하지만, 명사 (또는 대명사)는 항상 대격으로 있다 (우리는 “about she”가 아니라 “about her”라고 말한다). 헬라어에서는, 다수의 전치사들이 단 하나의 격(格)을 취하지만, 다른 것들은 격(格)을 둘이나 심지어 셋도 취한다 (제 8과를 보라). 게다가, 대부분의 전치사들은 (일반적인 의미인) 핵심 의미와 얼마간의 확장된 의미들을 가지고 있다.
이 과는 단 하나의 격(格)과 더불어 사용되는 네 헬라어 전치사들을 소개한다:
⑴ π (645회 발견됨)는 항상 속격을 취한다. 그것은 가장 빈번하게 “from, …로부터”(그것의 핵심 의미), “away from, …에게서,” 또는 “of, …에서 떨어져”로 표현된다. 보기: “I received the book from the brother [π το δελφο], 내가 그 형제로부터 그 책을 받았다.” π 는 이형태(異形態)들로 (π’ μο, “from me, 나로부터”에서처럼) 모음 앞에서 π’, 그리고 (φ’ μν, “from us, 우리로부터”에서처럼) 거친 숨표 앞에서 φ’ 를 포함하고 있다.
⑵ ες (1753회 발견됨)는 항상 대격을 취한다. 그것은 가장 빈번하게 “into, 안으로”(그것의 핵심 의미), “to, …까지,” “for, …을 위하여,” 그리고 “in, …안에”로 표현된다. 보기: “I walked into the house [ες τν οκον], 내가 그 집 안으로 걸어갔다.”
⑶ κ (915회 발견됨)는 항상 속격을 취한다. 그것은 가장 빈번하게 “out of, …에서 밖으로”(그것의 핵심 의미), “from, …로부터,” 또는 “by, …에 의하여”로 표현된다. 보기: “I went out of the temple [κ το ερο], 내가 그 성전에서 밖으로 나갔다.” κ 는 이형태(異形態)로 (ξ οκου, “out of a house, 한 집에서 밖으로”에서처럼) 모음 앞에서 ξ 를 포함하고 있다.
⑷ ν 은 항상 여격을 취한다. 그것은 가장 빈번하게 “in, …안에”(그것의 핵심 의미); “within, …의 속에,” “by, …에 의하여,” 그리고 “among, …의 사이에”로 표현된다. 보기: “I got lost in the crowd [ν τ χλ], 나는 그 군중 안에 잃어버린바 되었다.” ν 은 때때로 비인간적인 작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84를 보라).
전치사는 항상 문장 안에서 그것이 지배하는 것과 함께 읽혀져야 하는 것이 강조되어야만 한다. 이 결합은 전치사구 prepositional phrase 로 불리며, 단 하나의 의미의 단위이다. 그러므로 ν τ χλ 는 ν (“in, …안에”)에 τ χλ (“for the crowd, 그 군중을 위하여”)가 더하여진 것으로 읽혀지지 않고, 오히려 단 하나의 사고의 단위로 읽혀져야 한다 (“in the crowd, 그 군중 안에”).
2) 격(格)의 추가적인 용법 Additional Uses of the Cases
일반적으로 속격은 소유를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그 외에도 다른 많은 중요한 용법들을 가지고 있다. 이 용법들 중의 하나가 출처를 나타내는 탈격(奪格)의 속격 ablatival genitive 이다: γω δολον οκου, “I lead a servant from a house, 내가 한 집으로부터 한 종을 인도하고 있다.” 여격도 또한 처격(處格)의 여격 locative dative (γρ, “in a field, 한 들 안에”), 조격(助格)의 여격 instrumental dative (λγ, “by a word, 한 말씀에 의해”), 그리고 개인적 이익에 대한 여격 dative of personal advantage (νθρπ, “for a man, 한 사람을 위하여”)을 포함하여, 다른 많은 중요한 용법들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과 격(格)들의 그 외의 용법들은 관찰에 의해 배워야만 한다.
2. 성(性) Gender
격(格)에 더하여, 헬라어 명사들은 또한 성(性)을 가지고 있다. 영어에서 우리는 자연적 성(性)을 말한다: “man, 남자”는 남성이고, “girl, 소녀”는 여성, 그리고 “car, 자동차”는 중성이다. 이것들에 대하여 언급할 때 우리는 각각 “he, 그,” “she, 그녀” 그리고 “it, 그것”이라고 말한다. 헬라어는 (일반적으로) 살아 있는 존재들에 대하여 자연적인 성(性)을 말하지만, 그러나 사물들, 특성들 등을 묘사하는 다른 명사들은 반드시 중성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νρ (“man, 남자”)는 남성이고 γυν (“woman, 여자”)는 여성이지만, θνατος (“death, 죽음”)는 남성, μαρια (“sin, 죄”)는 여성, 그리고 τκνον (“child, 아이)은 중성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특정한 명사가 특정한 성(性)을 가지는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사례에서 개개의 명사들의 성(性)이 그것의 어미에 의해 보여지기 때문에 배우기에 어렵지 않다.
3. 제 1 어형변화 명사 First Declension Nouns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제 1 어형변화 명사들은 어간을 형성하기 위해 명사 어간에 연결 모음 α 가 첨가되는 특징이 있다. 게다가 이 어간에 격-수 접미사들이 추가된다. 제 1 어형변화에는 다섯 어형변화표들이 있다. 이 어형변화표들 간의 차이는 어떤 음성상의 변화들 때문이며, 단수에 한정된다. 얼마의 낱말들 속에서 α 는 단수 전체에서 η 로 길어지며, 동시에 소수의 다른 낱말들 속에서 α 는 오직 속격과 여격 단수에서만 η 가 된다. 제 1 어형변화에 속하는 남성 명사들은 그것들 자체의 특색들을 가지고 있다. 제 1 어형변화에는 중성 명사들이 없다. 제 1 어형변화의 다섯 어형변화표는 다음과 같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단수 | |||||
여성 명사 |
남성 명사 | ||||
<!--[if !supportEmptyParas]--> <!--[endif]--> |
“day, 날” |
“glory, 영광” |
“voice, 소리” |
“disciple, 제자” |
“young man, 젊은이” |
주. |
μρα |
δξα |
φων |
μαθητς |
νεανας |
속. |
μρας |
δξης |
φωνς |
μαθητο |
νεανου |
여. |
μρ |
δξ |
φων |
μαθητ |
νεαν |
대. |
μραν |
δξαν |
φωνν |
μαθητν |
νεαναν |
호. |
μρα |
δξα |
φων |
μαθητ |
νεανα |
복수 | |||||
<!--[if !supportEmptyParas]--> <!--[endif]--> |
“day, 날” |
“glory, 영광” |
“voice, 소리” |
“disciple, 제자” |
“young man, 젊은이” |
주.호. |
μραι |
δξαι |
φωνα |
μαθητα |
νεαναι |
속. |
μερν |
δοξν |
φωνν |
μαθητν |
νεανιν |
여. |
μραις |
δξαις |
φωνας |
μαθητας |
νεαναις |
대. |
μρας |
δξας |
φωνς |
μαθητς |
νεανας |
<!--[if !supportEmptyParas]--> <!--[endif]-->
만일 낱말의 어근이 음소 ε, ι 또는 ρ 로 끝나면, 주격 단수의 α 가 (μρα 에서처럼) 어형변화 내내 유지된다는 것에 주목하라. 만일 낱말의 어근이 치찰음의 음소(ζ, σ, 또는 σ 를 담고 있는 중복 문자들, 즉, ξ, 또는 ψ)로 끝나면, 주격 단수의 α 가 (δξα 에서처럼) 속격과 여격 단수 안에서 -ης 와 - 로 길어진다. 만일 낱말의 어근이 ε, ι, ρ, 또는 치찰음 외의 음소로 끝나면, 주격 단수의 η 가 (φων 에서처럼) 단수 내내 유지된다.
위에서 논의된 명사들에 대한 세 부류들이 신약성경 안에 있는 제 1 어형변화 명사에서 가장 큰 어군(語群)을 이루고 있다. 이름들을 제외하고도, μρα 의 어형변화를 따르는 신약성경 명사들이 310 개, δξα 의 어형변화를 따르는 명사들이 22개, 그리고 φων 의 어형변화를 따르는 명사들이 191 개 있다. 이 낱말들은 모두 여성이다. 그렇지만, 신약성경에는 제 1 어형변화를 하는 112 개의 남성 명사들이 있는데, 그 중 111 개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대개 -τ)을 가지고 μαθητς 의 어형변화를 따르고 있으며, (이름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는 ε, ι, ρ 로 끝나는 어근을 가진다 (νεανας). νεανας 의 어형변화가 연결 모음 η 대신에 α 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μαθητς 의 어형변화와 동일한 것에 주목하라. 남성 명사의 주격 단수 (-ς)와 속격 단수 (-ου) 어미들은 제 2 어형변화에서 차용되었다. 이전부터 -ς 가 주격에 덧붙여져 왔기 때문에, 속격 접미사 -ου 는 주격으로부터 속격을 구분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었다 (만약 그렇지 않았으면 변화형은 -ης, -ης -ας, -ας 가 되었을 것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제 1 어형변화 표들의 어미들이 도표 형태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신약성경에서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 호격을 제외하였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1 |
2 |
3 |
4 |
5 |
복수 |
-α |
-α |
-η |
-ης |
-ας |
-αι |
-ας |
-ης |
-ης |
-ου |
-ου |
-ων |
- |
- |
- |
- |
- |
-αις |
-αν |
-αν |
-ην |
-ην |
-αν |
-ας |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4. 제 2 어형변화 명사 Second Declension Nouns
헬라어는 격(格) 기능을 다른 형태들에 의해 나타내기 때문에, 헬라어 명사들은 그것들의 어미 변화 방식에 따라 함께 분류될 수 있다. 이 변화들은 격(格) case 과 수(數) number 모두를 나타낸다. 우리가 본 대로, 격(格)은 문장의 동사 또는 다른 부분들에 관한 그 명사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수(數)는 그 명사가 단수 singular 또는 복수 plural 인지를 나타낸다. 격(格)과 수(數) 모두 격-수 접미사 case-number suffixes 로 부르는 다른 형태들에 의해 표시된다. 이 접미사들은 어간 모음들 stem vowels 에 의해 명사 어근에 붙여진다. 어미들에 대해 동일한 패턴을 사용하는 명사들은 어형변화 declensions (라틴어 declino, “I fall away, 내가 떨어져 나간다 [즉, 주격으로부터]”)로 불린다. 헬라어에는 세 기본적 어형변화들이 있다. 제 1 어형변화 first declension 는 모음 α 인 어간 어미를, 제 2 어형변화 second declension 는 모음 ο 인 어간 어미를, 그리고 제 3 어형변화 third declension 는 자음들인 어간 어미를 가지는 특성이 있다. 셋 중에 배우기에 가장 쉽고 또 다른 것들에 비해 더 큰 수의 낱말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 2 어형변화가 소개된다.
제 2 어형변화는 두 주요 무리로 나뉘어질 수 있을 것이다: ⑴ 얼마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주격 단수 어미들이 -ος 인 남성인 명사들; 그리고 ⑵ 주격 단수 어미들이 -ον 인 모두 중성인 명사들. 두 무리 모두는 주격, 호격, 그리고 대격을 제외하고는 항상 같은 어미들을 가진다. 남성 명사인 νθρωπος (“man, 사람”)의 어형변화를 중성명사인 τ δρον (“gift, 선물”)의 어형변화와 비교해 보라:
|
단수 |
단수 | ||
주. |
νθρωπος |
a man, 한 사람이 |
δρον |
a gift, 한 선물이 |
속. |
νθρπου |
of a man, 한 사람의 |
δρου |
of a gift, 한 선물의 |
여. |
νθρπ |
to a man, 한 사람에게 |
δρ |
to a gift, 한 선물에게 |
대. |
νθρωπον |
a man, 한 사람을 |
δρον |
a gift, 한 선물을 |
호. |
νθρωπε |
man, 사람아 |
δρον |
gift, 선물아 |
|
복수 |
복수 | ||
주. |
νθρωποι |
men, 사람들이 |
δρα |
gifts, 선물들이 |
속. |
νθρπων |
of men, 사람들의 |
δρων |
of gifts, 선물들의 |
여. |
νθρποις |
to men, 사람들에게 |
δροις |
to gifts, 선물들에게 |
대. |
νθρωπους |
men, 사람들을 |
δρα |
gifts, 선물들을 |
호. |
νθρωποι |
men, 사람들아 |
δρα |
gifts, 선물들아 |
우리는 νθρωπος 에서 -ος 를 떼어버림으로 어간 νθρωπ- 를 얻는다. 이 어간은 다양한 어미들이 (즉, 어간 모음들과 격-수 접미사들) 이것에 덧붙여질 때에도 일정하게 남아있다. 이 어미들은 이 과의 [단어] 안에 주어진 모든 남성 masculine 명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δρον 의 어간은 δρ- 이다. 중성 명사의 주격, 호격, 그리고 대격이 단수와 복수 (이 형태들은 밑줄이 그어져 있다) 모두에서 항상 같은 것에 주의하라. δρον 은 이 과의 [단어] 안에 주어진 모든 중성 neuter 명사들을 위한 어형변화의 전형적인 낱말이다. 중성 복수 plural 명사들이 일반적으로 단수 singular 동사들을 취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만 한다.
이름들과 합성된 형태들을 생략해도 신약성경 안에는 제 2 어형변화 명사들이 595 개가 있는 데, 그것들 중 347 개가 남성으로 νθρωπος 의 어형변화를 따르고, 196 개는 중성으로 δρον 의 어형변화를 따르고 있다. 또한 제 2 어형변화를 하는 여성 feminine 명사들이 몇 개 있다. 이 명사들은 νθρωπος 의 어형변화를 따르고 있지만, 여성 정관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δς, “the way, 그 길”; 참조. 요 14:6). 어떤 제 2 어형변화 명사들은 그것들의 형태에 있어서 불규칙 변화를 한다. 예들 들어, “Jesus, 예수”라는 이름은 다음과 같이 어형변화 된다: 주. ’Ιησος; 속.여.호. ’Ιησο; 대. ’Ιησον.
5. 보어(補語) Complements
하나의 연계 동사로서, εμ 는 앞서는 것과 뒤따라오는 것을 같은 것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이것은 목적격 accusative 으로 있는 목적어 object 대신에 (그 생각을 “완성하기” 위해) 주격 nominative 으로 있는 보어 complement 를 필요로 한다. 만일 εμ 가 사실상 같음을 나타내는 기호 (=)에 상응하는 것이라는 것을 기억한다면, 이것의 용법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 정관사의 용법 The Use of Definite Article
헬라어는 부정관사 indefinite article (영어의 “a” 또는 “an”)가 없다. 그러므로 νθρωπος 는 “사람” 또는 “한 사람”을 의미한다. 헬라어에서는 어떤 명사가 한정된 것을 나타낼 때 그 명사 앞에 정관사 definite article 를 둔다. 그러므로 νθρωπος 는 “그 사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관사의 존재는 특정한 신원 particular identity 을 강조하는 반면, 관사의 부재는 특성 quality 이나 특질 characteristics 을 강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누가복음 18:13에서 세리는 관사를 사용함으로 자신을 “그 죄인”으로 간주했는데, 영어번역에서는 대부분 이 점을 놓치고 있다. 다른 한 편, 갈라디아서 1:1에 있는 “한 사도”라는 바울의 주장은 그 직무로부터 다른 사람들을 제외함 없이 그의 사도권의 존엄성과 위엄을 강조하고 있다. 헬라어에서 관사가 나타나지 않는 곳에서도, 영어에서는 상황이 암시하고 있다면 번역을 할 때 “a” 나 “an”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때로 헬라어에서 (요한복음 1:1: “in the beginning, 태초에”에서처럼) 관사가 없는 곳에서도 영어에서는 정관사가 사용되었다. 거꾸로, 헬라어에서는 (고린도전서 13:13: “the greatest of these is [the] love,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에서처럼) 영어 어법이 관사를 생략하는 추상명사와 함께 관사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신약성경을 이해하기 위한 관사의 중요성은 26 과에서 더욱 자세히 다루어지게 된다.
관사를 가지고 있는 명사는 관사(冠詞)의 arthrous (ρθρον, “article, 관사”에서 유래) 명사로 불린다. 관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명사는 무관사(無冠詞)의 anarthrous (즉, “not-arthrous, 관사가 없는”) 명사로 불린다.
7. 정관사의 어형변화표 The Paradigm of the Definite Article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제 헬라어 정관사 (“the, 그”)의 어형변화표가 전부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33을 참조하라). 여성 관사는 φων 의 어형변화표 (앞쪽을 보라)를 따르지만, 한편 관사의 남성과 중성 어형변화는, 주격 단수에 대해서만 예외로 하고, 제 4 과에서 소개된 제 2 어형변화의 남성과 중성 어형변화표들 (νθρωπος 와 δρον)을 따른다. 정관사의 어근은 주격 남성과 여성 (단수와 복수)에서 거친 숨표가 있으며 다른 곳에서는 τ 가 있다. 관사가 명사를 위한 기본적 어형변화 양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것의 숙달은 헬라어 명사 체계에 대해 상당히 빠른 제어를 보증할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8. 접속사 Conjunctions
접속사 conjunction (라틴어 coniugo, “I join together, 내가 결합한다”에서 유래)는 낱말들, 구(句)들, 절(節)들, 그리고 문장들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낱말이다: “the apostle and the slave, 그 사도 그리고 그 노예”; “the law or the gift, 그 법 또는 그 은혜”; “he goes but they come, 그가 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오고 있다”; 등. 접속사들은 등위(等位) coordinate (라틴어 cum, “with, …와 함께”와 더불어 ordinatus, “placed in order, 순서에 따라 둔”에서 유래) 또는 종속(從屬) subordinate (라틴어 sub, “under, …의 아래에”에서 유래)으로 분류된다. 등위 접속사들은 서로 같은 낱말들이나 절(節)들을 연결한다. 그것들은 연결(“and, 그리고”), 대조(“but, 그러나”), 그리고 결과(“therefore, 그러므로”)와 같은 관계들을 보여줄 수 있다. 종속 접속사들은 어떤 다른 절(節)에 예속된 절(節)들을 이끈다. 종속의 절(節)들은 조건적(“if, 만약 …이라면”), 양보적(“although, 비록 …일지라도”), 시제적(“when, …할 때”), 원인적(“because, … 때문에”), 목적적(“in order that, …하기 위하여”), 또는 결과적(“that, …하도록”)이 될 수 있다. 이 과는 신약성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 등위 접속사들을 포함하고 있다: 8947 회 나타나는 κα (“and, 그리고”), 2771 회 나타나는 δ (“now, 그런데,” “but, 그러나”); 그리고 635 회 나타나는 λλ (“but, 그러나”). κα 는 문장들을 결합하는 기본적이고 “표시가 없는” 방법이며, 앞서는 문맥과 연속 상태에 있음을 함축하는 것이다. δ 는 이야기 또는 논의 중에서 새롭거나 의미심장한 전개의 소개를 표시한다. λλ 는 문장들 사이에 대조를 표시하며, δ 나 κα 보다 더 의미 있는 중요성을 가진다.
ⅰ. δ 는 헬라어에서 후치적 postpositive 이다. 즉, 그것은 그것의 절(節) 또는 문장에서 맨 처음에 있을 수 없다. 그렇지만, 영어에서 그것은 거의 언제나 맨 처음에 있다. ⅱ. λλ 의 마지막 모음은 βλπεις, λλ’ κοω, “You see, but I hear, 네가 보고 있다 그러나 나는 듣고 있다”에서처럼 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시작하는 낱말 앞에서 생략된다. ⅲ. 헬라어는 “both, 양쪽 다”를 의미하는 접속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에, εμ κα υς κα δολος, “I am both a son and a servant, 나는 한 아들일 뿐만 아니라 또 한 종이다”에서처럼 κα 가 사용된다. κα 는 또한 부사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겨우 그것은 “also, 또한” 이나 “even, …까지도”로 번역된다. 마태복음 10:30을 비교하라: “But even [κα] the hairs of your head are all numbered, 너희에게는 머리털까지 다 세신 바 되었나니.”
9. 헬라어 낱말의 순서 Greek Word Order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헬라어에서 낱말의 순서는 영어에서보다 상당히 융통성이 있다. 대체로 신약 성경의 저자들은 주어를 동사 뒤에 두었다: 즉, βλπει νθρωπος πστολον, “A man sees an apostle, 한 사람이 한 사도를 보고 있다.” 절(節)의 처음에 동사를 두려는 이 경향은 아마도 셈어계의 영향 때문일텐데, 성경 히브리어에서 전형적인 낱말의 순서는 동사, 주어, 목적어이다. “앞에 둔” (도치[倒置]된) 문장의 구성요소들은 종종 특별히 강조가 된다. πστολον βλπει νθρωπος 는 “It is an apostle that a man sees, 한 사람이 보고 있는 한 사도이다”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비슷하게, 속격들의 일반적인 위치는 그것들의 명사 뒤이다: εμ δολος θεο, “I am a servant of God, 나는 하나님의 한 종이다.” 여기에서는 속격을 앞에 둠으로 강조가 이루어진다. εμ θεο δολος, “I am God’s servant, 나는 하나님의 종이다.” 헬라어 낱말의 순서에 대한 중요성은 26 과에서 보다 완전하게 논의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