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학습/헬리어

헬라어 동사조감도-현재 미래 직설법 및 에이미 동사, 부정어

그리스도의 군사 2015. 10. 5. 00:15

 

1. 현재와 미래의 사용에 대해서 살펴 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현재 직설법에 의해 나타난 () 부정과거형 aoristic 수도 있지만(부정과거와 부정과거형은 다릅니다), 그래도 대개는 미완료형 imperfective 이다(§15 참조하라). 그러므로 λυω 문맥에 따라 I loose, 내가 풀어준다또는 I am loosing, 내가 풀어주고 있다”가 됩니다. 이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해석은 진행형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법들은 각각 단순 현재 진행형 현재 불린다.

 

마태복음 8:25을 보면 주여 구원하소서 우리가 죽겠나이다 Lord, save us! We are drowning

Κα προσελθντες ο μαθητα γειραν ατν, λγοντες, Κριε, σσον μς, πολλμεθα(VIPM1P)에서처럼, 진행형 현재는 이야기체의 자료 안에서 자주 발견된다. 해석하면  '우리가 지금 물에 빠져 죽어가고 있는 중이다'입니다.

 

여기에서 현재 시제의 하나의 다른 용법을 간략하게 언급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마가복음 1:40: 문둥병자가 예수께 와서 and a leper comes to him, ρχεται πρς ατν λεπρς에서처럼, 어떤 분은 이것을 역사적 현재로 번역한 분도 있지만 과거에 속하는 현재로 번역하는 것이 같습니다. 이것은 과거의 사건이 현재 일어난 일의 생생함으로 보여질 사용된다. 무슨 말인가하면 사건은 과거에 일어낫지만 현재에 생생하게 나타낼 사용됩니다.

문둥병자가 예수님께 왔을 때는 과거이지만 나중에 그것을 회상할 너무나 생생할 히스토릭컬 프레즌트, 과거에 속하는 현재로 사용됩니다.

 

용법은 일반적으로 생생한 이야기체의 특징이 있으며 마가복음의 독특한 특징이다 (151 ). 그곳에서 마가복음에서 이것은 새로운 장면들이나 참여자들을 소개하고 있다. 비록 어떤 행동이 과거에 발생했을 때에도, 저자가 현재 시기의 행동으로 묘사하기를 선택할 있다는 것에 주목하라. 그러므로 여러분은 실재(어떻게 행동이 발생했는가) 묘사(어떻게 저자가 행동을 표현했는가) 사이를 항상 주의 깊게 구별해야 한다. 과거에 일어난 일을 현재형으로 표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요한복음 14:26: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He will teach you all things, κενος μς διδξει πντα에서처럼, 미래 시제는, 이름이 함축하고 있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서술적 효력이 있다. 그렇지만 누가복음 1:31: 이름을 예수라 하라 you will call [i.e., you are to call] his name Jesus, κα καλσεις τ νομα ατο ησον에서처럼, 미래는 또한 명령을 표현하기 위해 명령적으로 사용될 있다. 용법은 히브리어의 영향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에베소서 5:31: 사람이 부모를 떠나 A man will leave father and mother에서처럼, 일반적으로 인정된 사실에 대한 진술은 때때로 미래 시제에 의해 표현된다. 중요합니다. 후자의 예는 서술적이지도 명령적이지도 않다; 이것은 단순히 정상적인 상태 아래서 당연하게 기대되는 일을 단언하는 것이다. 용법은 때때로 격언 미래 gnomic future (γνμη, maxim, 격언에서 유래) 불린다. 미래 시제에서의 행동의 종류는 부정과거형(내가 풀어줄 것이다) 또는 미완료형(내가 풀려지고 있을 것이다) 모두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 신약성경에서 이것의 일반적인 () 현재보다는 시간적 요소에 강조를 하는 부정과거형이다. 너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면 I will prepare a place for you, τοιμσω μν τπον( 14:3) 부정과거형이며, 반면에 너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이루실 줄을 the on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bring it to completion, ναρξμενος ν μν ργον γαθν πιτελσει ( 1:6) 미완료형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우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하나님이 계속해서 우리를 완성의 상태로 데리고 가신다는 것입니다. 한번 하고 마는 것이 아닙니다.

. 진행형의 progressive, 서술적인 predicative, 격언의 gnomic 등과 같은 명칭들은 가장 전통적인 명칭들이다. 라벨, 표지(標識)로서 그것들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명칭들과 관련된 의미이다.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시제가 아니라  상황이다.   과와 그러한 표지들이 사용되는 이어지는 과들 안에서 사실을 마음에 새겨두고 있어야만 한다. 아주 중요합니다. 이해를 하십시오.

 

. 여러분은 헬라어 의문 부호가 ; (§8 참조하라)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므로 λύομεν 우리가 풀어준다또는 우리가 풀어주고 있는 중이다 의미하지만, λύομεν; 우리가 풀어주는가 do we loose?또는 are we loosing? 우리가 풀어주고 있는 중인가? 의미하고 있다.

2. ἐιμί 현재 직설법

 

에이미는 능동태가 없습니다. 태가 없습니다. 그래서 현재 직설법만 봅니다. 이미 살펴본 것처럼, -μι 어형변화의 가장 자주 나타나는 동사는 ἐιμί (나는이다)이다. 문법학자들은 ἐιμί 연계 copulative 동사 (라틴어 copulo, 내가 연결한다에서 유래) 분류하는데, 이유는 요한일서 1:5: ὁ θεὸς φῶς ἐστίν 에서처럼 하나님[주어]이고, [술어]입니다여기서 하나님, 주어와 술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이 에이미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에이미를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εμ 어떤 행동보다는 존재의 상태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능동태, 중간태 그리고 수동태를 가지지 않는다. 그리고 삼인칭 단수와 복수에 움직이는 ν 주의하라. 읽어보죠. 에이미, 에이, 에스틴, 에소멘, 에스데, 에이신입니다.

 

 

단수

복수

1.

ἐιμί

나는이다

I am

ἐσμεν

우리는이다

we are

2.

ἐι

너는이다

you are

ἐστέ

너희는이다

you are

3.

ἐστίν

그는이다

he is(,그녀,이것)

εἰσίν

그들은이다

they are

 

표가 나오면 무조건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외우십시오.

ε 예외로 한다면, ὁ δὲ ἀγρός ἐστιν ὁ κόσμος 밭은 세상이요 Now the field is the world( 13:38)에서처럼, ἐιμί 현재 시제는 전접적(前接的)으로, 바로 앞의 마지막 음절 위에 그것의 엑센트를 되돌아가게 한다. 전접어들과 일반적인 헬라어 액센트들에 대한 보다 깊은 토의를 위해서는 나중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3. 부정어

헬라어에서는 부정어 아니다 not 가 부사 Οὐ에 의해 표현된다. 이 낱말은 직설법 안에 있는 동사와 함께 부정어로 사용된다. 다른 낱말이 또 하나 있는데 μὴ는 다른 모든 법()들과 함께 사용된다. 두 부정어는 모두 그것들이 언급하는 낱말 앞에 온다. 그러므로 οὐ λυω내가 풀어주지 않는다를 의미하며, οὐ λύομεν 우리가 풀어주지 않는다를 의미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낱말 앞에서는 Οὐκ 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οὐκ ἀκούω, 내가 듣지 않는다), 거친 숨표 앞에서는 Οὐχ 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οὐκ ἑτοιμάζω, 내가 준비하지 않는다). 언어학상으로, 이 모든 형태들 - ο, μ, οκ, 그리고 οχ - 은 같은 헬라어 부정 부사의 이형태(異形態)로 간주된다. 아시겠지요????

ἀκούω

 

4. 어구의 분석, 파싱(Parsing) 대해서 보겠습니다.

헬라어에서 정형(定形) 동사들은 시제, , , 인칭, 그리고 수를 전달하고 있다. 어떤 동사를 분석하는 parse 것은 동사의 근원(사전적 또는 어휘적 형태) 함께 다섯 요소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λύομεν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재 시제, 능동태, 직설법, 일인칭, 복수, 동사 λυω에서 유래. 실제적인 상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할 있을 것이다: 줄여서...현재 능동태 직설법, 일인칭 복수, λυω에서 유래.나중에 파싱을 하게 되면 간단하게 영어로 합니다.

그래서 pres, act, ind, 1, sing 적기도 하고, 약자로 PAI1S 적기도 합니다.

5. 낱말

낱말은 외우셔야 합니다.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http://cafe.daum.net/i7lo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