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중동이 불타고 있다 이집트에서는 지난 14~17일 군부가 쿠데타 반대 시위대를 강제 진압하는 과정에서 1000여명이 사망했다. 시리아에선 21일 정부군이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반군 거점인 구타 지역을 화학무기로 공격해 1300여명이 숨졌다고 반군 측이 주장했다. 이라크·아프가니스탄·예멘 등에서도 테러와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2011년 민주화 운동인 ‘아랍의 봄’이 다시 차디찬 ‘겨울’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세속주의와 이슬람주의, 이슬람 수니파와 시아파 간 뿌리 깊은 대립이 ‘혈전(血戰)’을 부르고 있다고 진단한다.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전반에서 벌어지고 있다. 지난 6월 터키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 시위(이슬람주의 정권 대 세속주의 세력), 지난 1월 알제리에서 발생한 천연가스전 인질극 사건(군부 정권 대 이슬람 무장단체), 지난해 1월 이후 계속되고 있는 튀니지 반정부 시위(이슬람주의 정권 대 세속주의 세력) 등도 모두 세속과 이슬람의 대결 구도에 포함된다.
이슬람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사회상에서 기인한다. 영국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은 그의 책 ‘이슬람’에서 “이슬람은 ‘알라(신)의 뜻대로 사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무슬림의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의무를 그대로 현실에 실천하려는 세력을 ‘이슬람주의 또는 이슬람 원리주의’라고 부른다. 즉 이슬람 율법(샤리아)을 현실 정치에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 정치를 이끌어야 한다는 쪽이 이슬람주의 세력이고, 반대로 세속주의 세력은 종교가 정치에 개입해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무슬림형제단은 이슬람주의, 군부는 세속주의를 대표한다.
정교(政敎) 분리, 시장경제 시스템을 지향해 왔다. 군부는 60년 가까이 집권하는 독재로 흘렀지만 형식적으로 민주주의 시스템을 받아들였다. 유대 국가인 이스라엘과는 1979년 평화협정을 맺었다. 미국과는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
반(反)이슬람적 행위로 규정하며 세속주의 군부 정권에 줄곧 도전해 왔다. 이들은 1948년 이슬람주의와 상반되는 정책을 추진한다는 이유로 마흐무드 노크라시 총리를 암살했다.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은 1981년 극단 이슬람주의 단체에 암살됐다.
처음으로 집권에 성공했지만 군부 쿠데타로 ‘1년 천하’로 끝나고 말았다. 이집트 국민은 지나친 종교적 억압을 일삼는 무슬림형제단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국민 손으로 무슬림형제단의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을 선출했지만 2200만 시민이 무르시 대통령 하야에 서명했다.
이슬람주의 단체인 무슬림형제단이 쉽게 무너지지 않고, 앞으로도 군부에 도전해 이슬람국가 건설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파와즈 기르기스 런던정경대 중동정치학 교수는 “이집트가 이념적, 정치적으로 더 심하게 양분될 것”이라고 말했다.
1971년부터 집권 중인 ‘알아사드’ 가문은 세속주의인 사회주의 노선을 취했다. 그러나 1954년 이후 시리아에 들어온 무슬림형제단은 국민 기층에서 이슬람주의를 확산시켰다. 무슬림형제단은 1982년 하마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벌였고 하페즈 알아사드 대통령은 이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2만명을 학살했다. 2011년 아랍의 봄 발발 이후 가장 먼저 반군 거점 도시가 된 곳은 무슬림형제단 근거지인 중부 도시 하마와 홈스였다.
종파 대결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632년 예언자 무함마드 사후 수니파와 시아파는 후계자 선정 문제를 놓고 갈라져 1400여년간 갈등을 빚고 있다. 시아파 맹주인 이란과 레바논 시아파 무장 정파 헤즈볼라가 알라위파(시아파 분파)인 알아사드를 지원하고 있다. 수니파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UAE)·터키 등은 수니파 반군을 지원한다. 하지만 반군 내에서도 이슬람주의를 내세우는 자브하트 알누스라(승리전선) 등 무장조직과 세속주의를 추구하는 자유시리아군(FSA)이 서로 유혈 충돌을 벌이고 있어 전황(戰況)은 한층 복잡하게 꼬이고 있다. 또한 시리아 내전이 이웃 이라크로 번지면서 내전 발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영향력 축소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축소되면서 각종 불안 요소가 터져나오고 있다. ”(중동 전문가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
미국의 영향력이 축소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영향력 축소는 2008년 금융위기때부터 시작된다. 당시 미국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국방 예산을 줄여야 했고 이 과정에서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철군을 추진했다. 이라크 파병 부대는 2011년 철군을 완료했고 아프가니스탄 파병 부대는 2014년까지 철군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대중동예산도 대폭 삭감했다. 2014년 예산안에 따르면 미국은 팔레스타인, 요르단, 이집트, 이라크에 대한 지원 예산을 동결·삭감했다. 결국 중동 지역에서 돈과 군사를 빼내다보니 중동 문제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없게 됐다는 것이다.
사담 후세인·오사마 빈 라덴 제거, 이라크·아프가니스탄 민주화 등을 목표로 세웠다. 미국은 후세인과 빈 라덴 제거에는 성공했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은 막지 못했다. 이라크에서는 2003년 후세인 축출 이후 시아파 정권이 들어서면서 수니파와 시아파 간 유혈 충돌이 끝없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이웃 시리아 내전이 이라크로 번지면서 내전 발발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아시아로 중심축 이동(Pivot to Asia)’ 정책을 추진하면서 중동에 ‘살짝 발 담그기(light footprint)’식 전략을 취한 것도 중동 사태의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인 교수는 “시리아에서 아이들이 죽고, 리비아에서 지난해 9월 미국 대사가 죽는 상황에서 만약 부시 행정부였다면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군사 개입을 했을 것”이라며 “현재 시리아 정부가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미국의 응징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알카에다를 무력화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아랍의 봄 이후 중동 지역 정정 불안을 틈 타 알카에다는 빈 라덴 시절보다 더 넓은 지역에서 더 다양한 모습으로 테러를 벌이고 있다. 알카에다와 그 연계 세력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시리아· 이라크·리비아·소말리아·예멘·알제리·말리·나이지리아 등 중동·북아프리카 전역에 퍼져 있다. 이들은 시리아 내전, 이라크 유혈 충돌, 예멘 남부 장악, 리비아 벵가지 영사관 테러, 알제리 천연가스전 인질극 참사 등 굵직한 사건에 모두 관여했다. 오바마 행정부가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반군에 제공한 무기가 알카에다 손에 흘러들어가 세력 확대를 도와준 꼴이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
'각종 정보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대방 핸드폰 꺼져 있을때..... (0) | 2013.09.06 |
---|---|
[스크랩] 태풍의 이름과 뜻 (0) | 2013.09.06 |
[스크랩] 구글어스로 본 지구상 모든 인공위성 (0) | 2013.08.28 |
[스크랩] 194개국 국기/ 수도/ 인구/ 면적/ 통화단위/ 언어/ 종교 (0) | 2013.06.08 |
[스크랩] 방사선과 방사능 (0) | 201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