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
사용 국가 | 베트남 |
---|---|
사용 지역 | 동남아시아 |
언어 인구 | 모국어: 92,477,857명(2013년) 전체: 97,000,000명 이상 |
어순 |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명사-형용사 전치사 사용 |
언어 계통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주해 1] 비에트므엉어군 베트남어 (월남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표준 | 없음 |
언어 부호 | |
ISO 639-1 | vi |
ISO 639-2 | vie |
ISO 639-3 | vie
|
베트남어(베트남어: tiếng Việt, 윁남어)는 베트남의 총 인구 중 약 87%를 차지하는 킨족의 모국어이자 베트남의 공용어이다. 베트남의 소수 민족 사이에서도 공용어로 쓰이며 중국이나 이웃 나라의 킨족과, 미국, 프랑스 등지에 사는 재외 베트남인들이 쓰고 있다. 캄보디아에서는 소수 언어로, 주로 국경 지역에서 쓰는 편이다. 캄보디아의 크메르어와 사촌 관계를 가진 언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월남어(越南語)라고도 부른다.
언어학적 특징[편집]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몬크메르어파에는 베트남어 외에도 크메르어, 문다어, 카시어, 므엉어 등이 있다.[1] 최근에는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들 가운데에서도 친연관계가 깊은 베트남 북부 고원지대에 살고 있는 므엉족의 언어인 므엉어, 베트남 중부 꽝빈 성에서 사용되는 응우온어 등과 함께 비에트무엉어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
베트남어의 표준어와 방언을 엄밀하게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방언, 후에를 중심으로 한 중부 방언, 호찌민 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으로 나뉠 수 있다. 북부 방언은 6성조를 사용하고 음절 끝자음을 분명히 발음하지만, 중부와 남부 방언은 5성조를 사용한다. 베트남어의 표준음은 하노이의 북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3]
베트남어는 단음절이 하나의 단어가 되며 어미의 변화가 없는 고립어로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의 어순을 갖는다. 또한 수식어가 피수식어의 뒤에 놓인다.[3]
음운[편집]
자음[편집]
-
순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무성음 p [p] t [t] tr [ʈʂ~ʈ] ch [c~tɕ] c/k/q [k] 기음 th [tʰ] 유성음 b [ɓ] đ [ɗ] 마찰음 무성음 ph [f] x [s] s [ʂ] kh [x~kʰ] h [h] 유성 v [v] d [z~j] r [ʐ~ɹ] gi [z~j] g/gh [ɣ] 비강음 m [m] n [n] nh [ɲ] ng/ngh [ŋ] 접근음 u/o [w] l [l] y/i [j]
모음[편집]
베트남어는 비교적 모음이 많다. 아래는 하노이 베트남어의 모음 다이어그램이다.[주해 2]
성조[편집]
베트남어에는 6개의 성조(베트남어: thanh điệu)가 있다. 베트남어는 단음절이 단어를 이루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같은 발음이라도 성조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 |
문자[편집]
12세기부터 20세기까지 한월어(漢越語)와 순월어(純越語)가 혼재된 월남어를 중국한자와 월남한자를 병용해서 표기하는 문자체계인 쯔놈(베트남어: chữ Nôm)이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베트남어는 로마자에 성조를 표시하여 기록하는 꾸옥응으를 사용한다. 꾸옥응으는 17세기에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정리한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에서 비롯한 것으로,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지 시절《꾸옥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꾸옥응으의 알파벳 자모는 아래의 표와 같다.
대문자 | A | Ă | Â | B | C | D | Đ | E | Ê | G | H | I | K | L | M | N | O | Ô | Ơ | P | Q | R | S | T | U | Ư | V | X | Y |
---|---|---|---|---|---|---|---|---|---|---|---|---|---|---|---|---|---|---|---|---|---|---|---|---|---|---|---|---|---|
소문자 | a | ă | â | b | c | d | đ | e | ê | g | h | i | k | l | m | n | o | ô | ơ | p | q | r | s | t | u | ư | v | x | y |
모음에 붙는 기호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실제 표기에서는 이 기호들 위에 성조의 표시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mắc”(병을 앓다)와 같이 쓰인다. 베트남어는 단음절 마다 띄어쓰고 문장의 처음과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문법[편집]
베트남어는 고립어로 격이나 성, 수량에 따른 어미변화를 하지 않으며, 조사도 사용하지 않는다. 어순은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의 SVO 이다.[3] 시제의 변화나 의문등을 표시하기 위해 시제 부사, 의문 부사를 사용하고, 장소 등을 나타내기 위해 전치사를 사용한다. 부사는 동사 앞에 놓이고 일반명사는 분류사 뒤에 놓이며 수식어는 피수식어 뒤에 놓인다.
Con | chó | này | chẳng | bao giờ | sủa | cả. |
동물을 나타내는 분류사 | 개 | 이(것) | 부정 부사 | 언제(나) | 짖다 | 큰, 많은 , 늘상 |
이 개는 언제나 짖지 않는다. |
베트남어를 사용 하는 국가 지역[편집]
베트남
라오스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캄보디아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대한민국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프랑스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미국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캐나다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같이 보기[편집]
주해[편집]
'언어 학습 > 베트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베트남어 필수단문 500 [16~20번] (0) | 2014.06.25 |
---|---|
[스크랩] 베트남어 필수단문 500 [21~25번] (0) | 2014.06.25 |
[스크랩] 베트남어 필수단문 500 [26~30번] (0) | 2014.06.25 |
[스크랩] 베트남어 필수단문 500 [31~35번] (0) | 2014.06.25 |
[스크랩] 베트남 ⓜ Uoc gi - My Tam (??c g? - M? t?m ) (0) | 201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