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어파
아시아아프리카어족 (셈어파, 베르베르어파, 이집트어파, 쿠시어파, 오모어파, 차드어파, 베자어파) 의 한 갈래.
성서에 나오는 노아의 아들 셈(Sem)에서 유래.
문자로 쓰인 최초의 언어 중에 하나로, 기원전 3000여 년 경에 쓰인 아카드어가 셈어파 언어이다.
사용인구
아랍어: 약 2억 명
아라마어 (Aramaic): 시리아 등
히브리어: 약 700만 명 (이스라엘 등)
암하라어: 약 2700만 명 (에티오피아)
티그리냐어: 약 680만 명 (에리트리아 등)
분포지역
셈어의 분류
북동 셈어파: BC 3000년경의 기록을 남기고 있는 아카드어(Akkadian)와 그 이후에 남방의 바빌로니아어(Babyllonian)와 북방의 아시리아어(Assyrian)가 있었으나 현재에는 전하지 않는다.
북서 셈어파: 현재 시리아 ·팔레스티나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서 크게 아람어군(Aramaic)과 가나안어군(Canaanite)으로 나뉜다. 이 모두는 절멸했으며, 다만 히브리어 (헤브라이어)가 종교적인 힘에 의하여 아직까지 전해지며 이스라엘에서 약 300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
남셈어파: 아라비아반도의 중부를 중심으로 하여 북쪽으로는 북아랍어, 남해안지대의 남아랍어, 홍해를 사이에 둔 양 해안의 에티오피아어로 분류된다. 남셈어파의 제언어는 모두 약 1억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함셈어족 (Semito-Hamitic languages)
함어(이집트어, 콥트어, 베르베르어, 쿠시어 등을 총칭)는 주로 아프리카 북부에서 쓰이지만, 아프리카 중부의 미개민족에도 함어에 속하는 제어(諸語)가 쓰인다. 함어는 헤브라이어 ·아랍어 등을 포함하는 셈어와 친근성이 있으므로 셈어족 및 차드제어(하우사어 등)를 포함하여 함셈어족(또는 셈함어족)이라고 불렀다.
셈 및 함의 명명(命名)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노아의 아들 이름에서 딴 것이며, 1781년 슐뢰처(Schlzer)에 의한다. 또한 카프카스제어가 노아의 셋째 아들 이름을 따서 야페테어족이라 불렸던 때도 있었다.
함제어는 한 어족을 형성할 정도의 계통적 일체성을 보여 주지 않아서 종래에 하위언어로 분류되었던 이집트어 ·베르베르어 ·쿠시어를 각각 대등한 자격으로 셈어와 비교하게 되었다. 따라서 함셈어족이라는 명칭 대신에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라는 용어를 채용하게 되었다.
'언어 학습 > 언어 분포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쿠시어파 - 오로모어, 소말리아어, 시다모어, 아파르어 (0) | 2014.06.27 |
---|---|
[스크랩]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오모어파 - 오메토어 (0) | 2014.06.27 |
[스크랩] 러시아 언어 분포도 (0) | 2014.06.27 |
[스크랩] 코이산어족 - 부시멘족 및 호텐토트족의 여러 언어 (0) | 2014.06.27 |
[스크랩] 니제르콩고코르도판어족 (0) | 201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