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학습/헬리어

헬라어의 명사와 형용사/정관사 .용법3가지

그리스도의 군사 2015. 10. 6. 09:19

 

 

A. 명 사 형용사

1. 명사의 종류

   명사의 종류에는 남성명사 여성명사 중성명사가 있다.

   *남성명사는 강함. 권위. 능력 등을 나타내 주기 위해

             자연적인 남성. (예) 남자, 아버지, 아들  수컷 etc.  

             자연계의 남성적인(雄性的)인 존재 = 바람(wind), 해(sun), 하천(river) etc. 

   *여성명사는 여성의 부드러움, 섬세함. 아기자기함 등을 나타내 주기 위해

             자연적인 여성  (예) 여자, 어머니, 딸, 암컷, 자연계의 여성적인 존재 ..

             나라, 섬, 도시, 추상명사는 거의 대부분이 여성임: 사랑(love), 소리(포네], ..

   *중성명사는 인격이 없는 것(사물이나, 性이 없는 것, 선물같은 것)을 

    나타낼 때 쓰이는 것들을 말한다. 무생물(無生物),  지소사(指小辭, 인용구(引用句)

            (예) 아이[paidion], 영(프뉴마),  소금[halas].끝이  paidivon 처럼 ... ~divon   

             또는 ~ivon으로 끝나는 것

            

참고 1)   어간과 어미

           1. 변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단어의 어미 앞에 오는)이라 하고

           2. 변하는 부분을 어미(단어의 꼬리부분)라 한다.

참고 2)  수(數 = number)
          1. 단수는 오직 하나만 있는 것이라고 기억하면 좋을 듯            

                         단수(單數 = singular)... 상식적인 것.    사람,
           
2 반면에 복수는 하나 이상 있는 것들이라고 기억하면 좋겠다.

                         복수(複數 = plural)...   2개 이상의 모든 것.... 사람, 사과

            3.쌍수(雙數 = dual)..... 눈(2개)..등 쌍(雙)으로 존재하는것.  히브리어에는 

                         쌍수개념이 강하나, 헬라어는 희박함

         *명사에서 어미가 어떻게 달라지느냐에 따라서 남성과 여성 그리고 중성

          (단수.복수/주,소,여,목,호격)명사로 분류가 되어진다.

                                            어미 변화표


 

 

남성명사

 

여성명사(α,η)

중성명사(ον)

단수

복수

해석

단수

복수

단수

복수

주격

ος

οι

...

α

η

αι

ον

α

소유격

ου

ων

~

ας

ης

ων

ου

ων

여격

ω.

οις

~.~에게

α.

η.

αις

ω

οις

목적격

ον

ους

.

αν

ην

ας

ον

α

호격

ε

οι

..이여

α

η

αι

ον

α

 

 



     격(格 =  case)
      주격(主格 = nominative)... 문장의 주어  / 은, 는 ,이, 가(主語)가 되는 격 
        소유격(所有格 = genetive) ....  / ~의 (영어의 of + 명사)   
        여격(與格 = dative)...  / ~에게 (영어의  to + 명사) 
        목적격(目的格 = accusative )...  /  ~을 , 를    타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격. 
        호격(呼格 = vocative) ... 누구를 부를 때   / 아, 야, 이여(calling)의 격.

 

 

B. 형용사

 

   * 형용사는  명사를 아름답게 & 모양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려 하고 있다.

           평상시 여러분은 형용사를 많이 사용하는 대화를 하도록 하라.

     

형용사는 어미의 변화는 앞에서의 명사 어미변화 전체와 똑같다.

그리고 명사와 달리 남성, 여성, 중성의 어미변화 중에 어느 것을 대입해도 상관이 없다. 

주의 : 단 어간의 끝이  ι, ρ 로 끝날 때는 여성 어미가 α 를 취하고,

     어간의 끝이  ι, ρ 가 아닐 때는 여성 어미가 η 을 취한다.

ex)  δικαι 는 어간의 끝이 ι 로 끝나고 있기 때문에 여성어미에 대해서

   단수 α,ας,ᾳ,αν,α, 복수 αι,ων,αις,ας,αι 부분을 취한다는 것이고, 

      만약 αγαθ처럼 어간의 끝이 ι, ρ 가 아닐 때는 여성 어미를

   단수 η,ης,ῃ,ην,η, 복수 αι,ων,αις,ας,αι 부분을 취한다는 것이다.

 

형용사 해석법

ex) πιστος 믿음직스러운. 충성된

    πιστα로 갔을 때의 시상은 중성형용사 복수주격. 복수목적격. 복수호격이다.

           충성스런 것 들이. 충성스런 것 들을. 충성 것 들이여로 된다.

 

정관사

정관사는 누구든지(많은 사람이) 잘 알고 있는 사실이 뜰 때(사실일 때) 정관사가 쓰여진다.

정관사는 24가지가 사용되어지고 해석은 오직 (the)”이다- 신약에서만 정관사가 19870번이 쓰여졌으니 꼭 기억하도록 하자.

참고 : 정관사가 앞에 붙어 있을 때는 성..격이 일치한다

es): ό ιησους는 비록 명사 뒤에 ους가 붙어 있지만 명사 앞의 정관사(ό)가 남성 정관사이므로 ό ιησους는 남성 정관사 남성명사 단수 주격이 되는 것이다.

정관사의 변화

 

격변화

남성정관사

여성정관사

중성정관사

 

 

 

단수

주격

ό

ή

το

소유격

του

της

του

여격

τω.

τη.

τω.

목적격

τον

την

το

 

 

 

복수

주격

οί

αί

τα

소유격

των

των

των

여격

τοις

ταις

τοις

목적격

τους

τας

τα

 

 

 

소유형용사

1.소유형용사는 나에게 완전히 소유된 상태를 나타내준다.

2.소유형용사는 1.2인칭 소유형용사는 단수와 복수 이 두가지가 다 있지만 3인칭 소유형용사는 복수가 없고 무조건 단수로만 뜬다.

3.소유형용사의 성과 격변화를 알아보자.(소유형용사의 격변화는 형용사의 격변화와 같다)

1)1인칭소유형용사 단수:남성 εμος /나에게 속한 ,  여성 η , 중성 ον의 격변화를 사용한다.

1인칭소유형용사 복수:     ήμετερος /우리들 자신에게 속한 ,  α ,    ον

2)2인칭소유형용사 단수:     σος /너에게 속한 ,   η ,   ον

2인칭소유형용사 복수:    ύμετερος /너희들 자신에게 속한 ,    α ,   ον

3)3인칭소유형용사 단수:    ιδιος / 그 자신에게 속한,    α ,    ον

격변화가 밑으로 내려 간다

 

형용사의 용법 3가지

형용사의 용법에는 3가지가 있으며 이는 정관사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다르다.

1.     수식적 용법 명사와 형용사에 정관사가 있으면 수식적 용법으로 쓰여진 것이다.

(한정적 용법)    즉 형용사 앞에 [()**] 정관사가 있으면 수식적 용법이다.

                      그리고 명사 앞에 정관사가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다.

   ex) ό λογος ό δικαιος 그 의로운 말씀이   <) 그 아름다운 교회>

       ό δικαιος λογος

 2. 서술적 용법 형용사 앞에 정관사가 없으면 서술적 용법으로 쓰여진 것이다.

                  즉 정관사가 명사 앞에 있으면[()**] 서술적 용법이다.

ex) ό λογος δικαιος 그 말씀이 의롭습니다.  <~이다/ ) 그 교회는 아름답다>

δικαιος ό λογος

 

3.독립적 용법 형용사가 단독으로 뜰 때를 말한다.

                독립적 용법으로 뜰 때는 그 안에 명사를 품고 있도록 해석하라.

ex) ό αγαθος 그 선한 자가     αί δικαιαι 의로운 여자들이

    ό Αμεν 그 분은 아멘이시다   δικαιος 의로운 자가, 의인이

◑ 형용사 용법에서는 성..격이 일치한다.

만약 격이 다르면 따로 따로 번역을 해주라 또는 반드시 연구하고 가라.

 

 

 

'언어 학습 > 헬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벳발음기호읽는법 (알파벳발음기호표)  (0) 2015.10.12
헬단기#4 정관사  (0) 2015.10.06
헬라어 동사에 대하여|  (0) 2015.10.05
신약의 언어 -헬라어  (0) 2015.10.05
헬라어 기본개념 익히기|  (0) 2015.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