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학습/언어 분포도

[스크랩] 장면어족 Tibet-Myanma Language Family 藏綿語族 (티베트-미얀마 어족, 짱멘 어족)

그리스도의 군사 2014. 6. 27. 08:25

 

티벹미얀마 어족 (장면어족 藏綿語族 짱면어족)

 

1.  명칭   

티벹미얀마 어족 (Tibet-Myanma, Tibet-Burma, 티벹버마 어족) 또는 장면어족 (藏綿語族 짱멘어족) 이라고 함.  

예전에는 중국어족, 타이까다이어족, 티벹미얀마어족을 포괄하는 중국티벹 어족 (한장어족 Sino-Tibetan 漢藏語族 한짱어족) 의 일부로 분류되었으나, 근래에는 중국어족, 타이까다이어족 및 티벹미얀마어족을 별도의 독립 어족으로 취급. 

 

2.  삶터 

중국 (서부의 티벹 고원, 운남성 등), 동남아 북서부 (미얀마, 타이 및 라오스 북부 등),  인도 (북동부 및 북부) 등에 거주.  

 

1)    중국 서부 티벹 고원의 시짱자치구 (西藏自治區 서장자치구)를 중심으로 여러 티벹 계통의 종족이 거주하고, 남서부 윈난성(雲南省 운남성 Yúnnán Shěng) 및 사천성을 중심으로 여러 롤로-이 계통의 종족 (이족, 하니족, 리수족 등), 치앙 계통의 종족 (치앙족, 투지아족, 푸미족 등) 및 타니 계통의 종족 (로바족 등) 등이 거주한다.      

2)    미얀마에는 지배 종족인 미얀마족을 비롯하여 여러 롤로-이 계통의 종족 (이, 아카, 하니, 라후 등), 카렌 계통의 종족, 카친 계통의 종족 (카친, 징포 등) 및 쿠키-친 계통의 종족 (친) 등이 거주한다.  

3)    인도에는 북부에 티벹 계열의 여러 종족 및 북동부에 타니 계통의 종족 (아디, 미리, 니시 등), 보도-가로 계통의 종족 (보도, 가로 등) 및 쿠키-친 계통의 종족 (쿠키, 메이테이, 미조, 나가 등) 등이 거주하고 있다.  

4)    태국 북부 산악지대의 6개 화전민 (Six major hill tribes) 가운데 Hmong/Miao 및 Mien/Yao 족을 제외한 롤로-이 계통의 종족 (Akha, Lahu, Lisu) 및 카렌족 등 4개가 티벹미얀마 어족이다. (Hill tribes는 화전민 또는 migratory people을 의미함) 

5)    라오스 및 베트남 북부 산악 지대에는 롤로-이 계통의 여러 산악 부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한장n남아n남도n파푸아_언어분포스케치_동남아시아.jpg

중국티벹어족-언어분포스케치-6분파.jpg

티벹미얀마어족-언어분포도-중국n인도국경.jpg

티벹미얀마어족-언어분포도_stocklgs_중국.jpg

티벹미얀마어족_언어분포도-중국_서남부.jpg

미얀마-민족분포-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jpg

미얀마-민족분포_1972.png

미얀마-종족분포도.jpg

인도-소수민족n종교분포도_1973.jpg

인디아-북동부-소수민족-언어분포도-nonscheduled.png

라오스-언어분포도-1970.jpg

타이-종족분포도.jpg

 

3.  분류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계통, 보디쉬히말라야 어파  Bodish-Himalayish)

크게는, 보딕 어군 Bodic (티벹어군, 서부히말라야 어군) 및  히말라야 어군 Himalayan (키란티, 마하키란티, 네와리) 로 구분.

히말라야, 서부히말라야 어군이  하나로 통합된 렁어군 Rung을 LaPolla 박사가 2003년에 제안함. Rung Group은 rGyalrong, Nungish (T'rung=Dulong, Anong, Rawang), Kiranti, West Himalayan (Kinauri, Almora), Kham, Magar, Chepang 을 포함한다.

 

1)   티벹 어군

-    티벹어 Tibet:   중국 티벹지방의 언어, 약 600 만명

-    셰르파 Sherpa:   네팔의 산악지역, 네팔에 13만명 (2001년), 인도에 2만명 (1997년) 거주, SOV 어순

-    종카 Dzongkha (부탄어):    부탄의 국어

-    퓨릭 Purik (Buric, Ladakhi, Balti):  인도-파키스탄-중국 접경 Ladakh 및 Baltistan 지역, 약 60만명 (1991~1997년)

-    시킴어 (Sikkimese, 데종어 Denzong language, 부티아 Bhutia):  인도 시킴주의 원주민 언어, 2001년 약 7만명

-    렙차 Lepcha:    인도 시킴주 (네팔과 부탄 사이) 의 원주민, 약 5만명 (2007년)   

-    몬파 Monpa:     인도와 중국 접경지역에 거주 (Tawang), 약 8만명

-    따망 Tamang:   네팔 동부의 원주민 언어, 약128만명 (2001년), 네팔 전체의 5.6%

2)   서부 히말라야 어군 (카나우리 어군)

-    키나우리 Kinauri:   Sunam, Jangshung 샹슝, Chitkuli Kinnauri, Shumcho, 약 8만명이 인도 카나우리 지역에 거주 

-    알모라 Almora:     히말라야 산맥 서부 (네팔 서부) Uttarakhand 주  알모라 지역을 중심으로 약 7000명 거주  

3)   히말라야 어군 Himalayan (키란티-네와리 어군) 

-    네와르 Newar (Newa, Newari, Nepal Basha):  네팔 카투만두 지역, 약125 만명 (2001년), 네팔 전체의 5.48%

-    키란티 Kiranti:   Limbu (Yakthung 또는 Kirati, 네팔 동부 지역에 주로 거주, 약 70만),  Bantana 등 

-    마하키란티 Mahakiranti:  Chepang (네팔에 약 4만명 -2003), Kham, Magar, Sumwari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크게는 롤로-미얀마 (미얀마 어군 및 롤로-이 어군), 카렌 어군, 치앙 어군, 타니 어군 으로 분류

 

4)   미얀마 어군 (Myanma):   Myanma (버어마족 - 미얀마), Arakane (아라칸 - 미얀마 남부), Gong, Tavoyan

5)   롤로-이 어군 (Lolo):   Yi (이족 - 중국), Akha (아카족-태국), Hani (하니족-중국), Lahu , Lisu (Lisa?) 등

6)   카렌어군 (Karen):   Pa'o, Pwo, Sgaw

7)   치앙 어군 (Qiang):   Qiang (치앙족, 창족), Tujia (투지아족, 토가족), Pumi (푸미족, 보미족), Shixing

8)   타니 어군 (Tani):   Adi, Miri, Nisi (인도의 동북부 중국 접경 지역인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 주로 거주), Lhoba

 

카마루판 어파

크게는 쿠키-친어군 과 살어군 (카친어군, 콘약어군, 보도-가로어군) 으로 나뉨 

 

11)  쿠키-친 어군:  Kuki-Chin (쿠키-인도, 친-미얀마), Meithei (인도 북동), Mizo (인도 북동), Naga (인도 북동), Arleng/Ao

12)  카친 어군:   Kachin (카친- 미얀마 서북부), Jingpho (징포- 중국 서부), Kado 등

13)  콘약 어군 (Konyak)

14)  보도-가로 어군:   Bodo (보도- 인도 북동부), Garo (가로- 인도 북동부), Koch 등 

 

Simplified partial tree of Sino-Tibetan languages. Languages in red are extinct. White labels indicate categories (un-attested proto-languages)   

중국티벹어족-계통도_영문판.gif 

중국티벹어족-계통도_중문판.png 

티벹미얀마어족-계통도-단순-영문판-타이어제외.gif 

티벹미얀마어족-계통도-단순-영문판.gif

 

 

티벹 어군 (Tibetan or Tibetic)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 티벹 어군 

 

1.  명칭  

대표적인 언어인 중국의 티벹어를 사용하는 티벹족은 스스로를 티벹 (Tibet), 중국 정부에서는 공식적으로 짱족 (藏族 장족 ZàngZú) 이라고 부름. 

 

2.  삶터 

티벹 고원 (중국 서부 시짱자치구 西藏自治區 서장자치구) 및 인도 북부 (Nepal, Bhutan, 인도북동부 Sikkim 및 아루나찰프레데시, 인도 북서부 캐시미르 인근 Baltistan 및 Ladakh)

 

3.  주요 종족

 

티벹 (Tibet 티베트)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 티벹 어군 > 티벹어 (티벳어, 티베트어)

 

1)   삶터 및 인구

티벹 고원 (중국 서부 시짱자치구 西藏自治區 서장자치구), 약 600 만명

 

2)   방언

-    위창 방언(Ü-Tsang):  

수도인 라싸를 중심으로 중부 티벹 고원에서 사용.  위창어 또는 중부티벹어. 표준 티벹어 (중국의 티벹 방송 언어임.)  

-    캄 방언 Kham: 

중국의 티벹고원 남부 (Chamdo), 사천성 Sichuan, 청해성 Qinghai, 운남성 Yunnan에서 사용

-    Amdo

중국의 티벹 고원 동부 청해성 Qinghai, 감숙성 Gansu, 사천성Sichuan 등에서 사용

-    기타 방언:

Thewo-Chone (Gansu, Sichuan),

-    중국 외 국가의 주요 방언

Ladakhi (Jammu and Kashmir), Balti (Pakistan), Purki (Jammu and Kashmir), Spiti (Himalchal), Dzongkha (Bhutan), Drenjong (=Sikkimese), Sherpa (Nepal, Tibet), Kyirong-Kagate (Nepal, Tibet)

-    소수가 사용하는 방언

Jirel (Nepal), Tsamang (=Chocangaca; Bhutan), Lakha (Bhutan), Dur (=Brokkat; Bhutan), Mera-Sakteng (=Brokpa; Bhutan), Dhromo (=Groma; Tibet), Zhongu (Sichuan), Gserpa (Sichuan), Khalong (Sichuan), Dongwang (Yunnan), Zitsadegu (Sichuan), Drugchu (Gansu)
-    예외적인 언어

바이마어 Baima 는 창어군에 속하지만 티벹어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카롱어 Khalong 는 언어 이전으로 보여짐. 

 

4)   문자

티베트어에 사용되는 티베트 문자는 표음 문자이며, 기원은 산스크리트어 이다. 기본구성은 자음 30자, 모음 4자이다. 

티베트 문자는 퇸미 삼보다(Thönmi Sambhoṭa)가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고대 티베트 문헌으로는 전해지지 않는다.

라틴 문자 표기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현대에는 중국어로부터 차용된 어휘는 간체자로 표기하여, 중국어와 같이 발음한다. 

 

5)   종교 및 삶의 모습

대부분 불교 (탄트라야나, 라마교) 를 신봉함.
티벳 사회는 2가지 기본적인 조직이 있는데, 가족과 사회계급(평민, 사제, 귀족)이다.  일처다부제가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있으며 매우 일반적인 일이다 (암도족 Amdo은 일처일부제).  몇몇 부자나 귀족들 사이에선일부다처제나  일처다부제등의 난혼도 있다.
계절에 따른 기후 변화가 거의 없다. 라사(Lhasa)의 기온은 섭씨 7도에서 영하 8도 사이이며 건조 함.  대부분 반 유목민으로서, 야크와 소, 염소, 양떼를 몰고 새로운 목초지를 찾아 계속해서 이동하며,
농부들은 야크나 야크와 소의 잡종인 조(dzo)를 이용해서 밭을 간다. 가축의 젖을 짜서 버터를 만들며, 보리 가루와 버터를 섞어서 차에 넣어 만든 참파(tsampa)가 주식임.

 

6)   역사:    

수 세기 동안 티벳은 번성한 독립왕국이었음 (토번국 등).  몽골 및 청나라에 정복당함.   청나라 멸망 후 1911년에 독립

중국이 티벳을 침공하여 점령 (1951년)하였고, 100만명 이상이 학살 당함. 다수의 지도층이 인도로 망명

 

몬파 (Monpa, Monba, Menba, Menpa, 門族, Tawang)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몬파어 

 

1)   명칭

멘바 Menba, 모인바 Moinba, 몬바 Monba, 멘파 Menpa, 몽바 Mongba, 門族 Ménzú 등으로 불리움. 

부탄 동부의 Sharchops 민족의 언어인 Tshangla어와 유사 (약 21만명, 티벹문자 사용)   

타왕어 Tawang 인도 타왕지방에서 쓰는 몬파어의 최대 방언.

 

2)   삶터 및 인구

인도 북동부 중국접경 Arunachal Pradesh 주에 약 5 만명 (Tawang 및 West Kameng 지역)     

중국 티벹 지역에 약 2,5~3.4 만명 (2000년),   

부탄 3000명  

 

따망 Tamang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따망어

 

1)   명칭

Tamang

 

2)   삶터 및 인구

네팔 동부, 약128만명 (2001년), 네팔 전체의 5.6%

 

셰르파 Sherpa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세르파

 

1)   명칭

Sherpa 

 

2)   삶터 및 인구

네팔의 산악지역, 네팔에 13만명 (2001년), 인도에 2만명 (1997년) 거주, 

SOV 어순

 

시킴 Sikkimese (부티아 Bhutia, 드렝종 Drenzong)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부티아어

 

1)   명칭

시킴인 Sikkimese, 부티아 Bhutia, 종 Drenzong (Dranjong)  

 

2)   삶터 및 인구

인도 시킴주, 2001년 약 7만명   

 

3)   역사

15세기경 티벹의 종파 분쟁을 피해 3명의 라마 승려들 및 그 종파가 시킴 지방으로 이주

1641년 시킴왕국이 건국되고 한 때는 네팔 동부에서 부탄에 이르는 넓은 지역 통치하였으나, 후에 많은 지역을 부탄 및 네팔의 구르카 (GurKha) 족과의 전쟁에서 상실함.   

1866년 티벹은 시킴에서 영국에 패배하고 시킴은 영국의 보호국이 됨.

1975년 국민투표에서 인도와 합병에 90%이상이 찬성.  현재 시킴민주전선이 통치.  현재 중국은 시킴 지방을 인도의 영역으로 인정하지 않음.

 

렙차 Lepcha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렙

 

1)   명칭

 렙차 (네팔인이 부르는 명칭), 롱 (자칭),

 

2)   삶터 및 인구

인도 시킴 주를 주심으로 거주 전체 인구는 약 5만명 (2007년) 

 

3)   역사

시킴 지방에 처음 살기 시작한 사람들로 보여짐. 14세기부터 티베트에서 시킴 지방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부티아족에 동화.  

부티아족은 높은 산악지대에서 유목생활을 주로 하며 렙차족은 대체로 외딴 골짜기에 산다. 두 부족 사이에 결혼이 행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거주지역이 서로 다르며 각각 고유한 티베트어를 사용한다. 시킴 지역 주민의 2/3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들과는 거의 교류를 하지 않는다.

렙차족은 부티아족의 영향을 받아 티베트 불교로 개종했으나 아직도 정령숭배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   

 

종 Dzong (부탄어)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종카어

 

1)   명칭:   언어는 종카 (Dzongkha),  

 

2)   삶터 및 인구:   부탄의 최대 종족  

 

퓨릭 Puric (Buric, Balti, Ladakhi)

 

1)   삶터 및 인구

인도-파키스탄-중국 접경 Ladakh 및 Baltistan 지역, 약 60만명 (1991~1997년)  

인도 북서부 캐시미르 지방의 북쪽 카라코람산 지역에서 인도 관할지역은 Ladakh, 파키스탄 관할 지역은 Baltistan임

발티7세경부터 티벹 고원에서 이동해온 티벹족의 일파로 여겨짐. (티벹계 종족 중 가장 서쪽) 

 

2)   언어 분류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티벹-카나우리 어파)  > 티벹 어군 >

7세기 경에 사용되었던 고전적 티벳어와 유사한 티벳 고어의 방언을 사용

 

3)   방언

-   부리그 및 발티 (발티스타니 보티아)   

발티 33만명 (1995년), 부리그 37만명 (1995년) 

파키스탄 관할 지역인 발티스탄에 주로 거주하며, 이슬람교로 개종한 티벳 종족들임. (16세기 이전에 이슬람교로 개종) 

-   라다크족 (Ladakhi)   

인도 관할 라다크 지방에 주로 거주하며, 라마교 및 힌두교를 주로 신봉함.   

 

4)   역사

수세기 전 티벹에서 파키스탄으로 이주하여 성공적으로 정착.

티벳-버마 언어군 중에서 가장 서쪽으로 뻗어온 종족들.

자신들만의 발티(Balti) 주를 가지고 있었으나, 1840년 영국-인도 제국으로 흡수됨.

1900년대까지 지역 통치자들의 지배 하에서 반독립적인 생활.

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갈라지면서 파키스탄 및 인도 행정부 관할 아래에서 고립됨. 

 

5)   삶의 방식:

눈이 녹은 물에 의존하여 농작.

유목민족은 아니나, 계절이 바뀜에 따라 목초지를 옮겨 젖소와 야크의 잡종인 즈모(zmo)를 키움.    

 

 

서부 히말라야 어군 (카나우리-알모라 어군)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카나우리 어군) >

 

1.  명칭

히말라야 산맥 서부 카나우르 Kannaur 지방에 거주하여 카나우리 어군이라고 부르기도 함.

 

2.  삶터 및 인구

인도의 히말라야산맥 서부 (네팔 서부) 히마찰프라데시 주 Himachal Pradesh 카나우르 Kannaur  지역 및 인근 네팔 접경에 거주.

약 7~9만명

 

키나우리 제족 (Kinauri)

 

1)   명칭 및 주요 종족

Sunam, Jangshung (샹슝), Chitkuli Kinnauri, Shumcho, (Kaike, Bhoti Kinnauri, Tukpa) 등의 민족 

예전에 키나우리 계통으로 여겨졌던 케이케어 Kaike 는 타망어 Tamangic에 가깝고, 보티 키나우리어 Bhoti Kinnauri 및 퉄파어 Tukpa 는 티벹어 계통의 보디시 Bodish (Lahauli–Spiti)에 가깝다.

 

2)   삶터 및 인구

인도의 히말라야산맥 서부 (네팔 서부) 히마찰프라데시 주 Himachal Pradesh 키나우르 Kinnaur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  

약 8만명이 키나우리 제어를 사용 (2001년)

 

3)   역사

서부 티벹의 아리 (Ngari) 지구를 중심으로 번성했던 샹슝왕국의 후손들 

-    샹슝(象雄) 왕국 (Jangshung)

샹슝 문화는 고대 티베트의 서부에서 북서부에 걸쳐 존재했던 문명으로 티베트에 불교가 전래되기 이전인 기원전부터 643년까지 티베트 고대 종교인 뵌(Bon)교의 무대였던 곳이다.  고대 티베트의 역사서에 고대 티베트 중서부의 패자로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최근 나취 지구에서 샹슝 유적지가 발견되기 전까지 고고학적 근거를 찾지 못했었다.  수도는 큔룰(?隆)지방에 위치한 큔룰은성(?隆?城, 白銀城)이었다.    샹슝 왕국의 마지막 국왕 리미캬(李彌夏, Ligmikya)는 티베트 왕조의 왕 송첸캄포에 의해 암살된다.   송첸캄포는 명재상인 가르통첸의 계략에 따라, 빼어난 미모의 여동생인 사드마카(Sadmakar)를 샹슝으로 보내 혼인을 시키는데, 사드마카는 리미캬를 송첸캄포가 매복시킨 복병이 있는 곳으로 인도하여 암살한다. 결국 샹슝왕국은 643년 티베트 왕조에 병합되었다.   티베트 왕조에 병합된 샹슝은 송첸캄포에 이어 즉위한 망송망첸이 677년 사망하자 독립을 시도한다. 하지만 가르통첸의 다섯 아들들에 의해 진압된다. 

-    구게 왕국 (Guge)

존속 기간 866년~1635년 / 수도 차파랑  / 인구 수만 명.   티베트의 관세음보살9세기 티베트의 고대왕국

구게 왕국은 9세기 티베트의 토번(吐蕃)왕국이 분열된 뒤 성립된 지방 정권으로 비교적 세력이 강성한 국가였다고 한다.
구게 왕국은 토번의 마지막 왕 랑다마(?達瑪)가 죽은 뒤 벌어진 수 차례의 왕위 쟁탈전에서 패한 지더니마(吉德尼瑪)왕자가 아리(阿里) 지역으로 도피해 새로운 왕국을 건설했다. 지더니마는 후에 아리 지역을 세 부분으로 나눠 아들들에게 나눠줬는데, 이들 나라가 라다크 왕국과 푸란 왕국, 그리고 구게 왕국이다.   구게 왕국은 지더니마의 셋째 아들인 더짜오(德朝)가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서장왕신기(西藏王臣記)에 따르면 구게 왕조는 700여년간 16명의 왕이 통치했으며 강성했을 때는 서쪽으로 캐쉬미르 일대와 지금의 파키스탄 일부까지도 지배했다고 한다. 또한 구게 왕성은 10세기에서 16세기에 이르는 동안 끊임없이 증축돼 황토산 전체가 왕궁과 사원, 방어시설과 주거지 등이 어우러진 하나의 거대한 건축물로 탈바꿈했다. 그리고 총면적이 72만㎡에 이르는 구게왕국 유적지에는 방 445칸, 토굴 879개, 보루 58개, 비밀통로 4갈래, 불탑 28기 등이 남아있다.   왕성이 있는 황토산의 바닥에는 노예와 백성들이 살았던 300여개의 동굴 주거지와 낡은 오두막이 줄지어 있고, 산허리에는 작은 사원과 전각, 승방 등이 밀집해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왕실 사람들이 거주하던 황토산 꼭대기의 여름궁전과 산 밑바닥에서 추위를 피하던 지하궁전인 동궁(冬宮)이 비밀통로로 연결돼 있다는 점.산성 내부에 인공 암도(暗道·터널)를 상하로 파서 꼭대기까지 연결되도록 설계했고 2km가량의 회전식 취수도(取水道)를 만들어 산꼭대기 왕궁으로 물을 끌어올렸다.  하지만 결국, 구게 왕국은 1635년 카슈미르에서 온 라다크인들의 집요한 공격 앞에 무너지고 말았다. 당시 국왕은 성문을 닫고 완강히 저항했으나 라다크인들이 매일 산 아래에서 백성들을 학살하자 결국 투항했다고 한다.

 

4)   언어

Kinnauri is SOV, V-Auxiliary, Postpositional, and has head-final noun phrases. It shows case marking with an ergative alignment in the past tense, nominative-accusative elsewhere. The ergative case is identical to the instrumental.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accusative and dative, and a genitive is partially syncretic with the accusative/dative. An ablative case is also recognized, normally attached outside the genitive but with different allomorphs for animate and inanimate referents. There is also a locative case, normally used only with inanimate nouns.

 

알모라 제족 Almora

 

1)   삶터 및 인구

인도의 히말라야 산맥 서부 (네팔 서부) 우타라칸드 주 (Uttarakhand) 알모라 지역을 중심으로 약 7000명 거주.

 

2)   주요 종족

Darmiya, Byangsi, Chaudangsi,

히말라야 어군

티벹미얀마 어족 >  서부 티벹미얀마 어파 (키란티-네와리 어군)  >

 

네와르족 Newar (Newa, Newari, Nepal Basha)  

 

1)   언어 분류 및 명칭

Tibeto-Burman >Western Tibeto-Burman > Himalayan > Central Himalayan, Newar

네와르 (Newar, Newa, Newari) 네팔바사 (Nepal Basha) 로 불리움. 

네와르어는 Nepal Basha 라고도 부르는데, 인도유럽어족 계열의 네팔어 (Nepali) 와는 다름.  네팔에서 쓰이는 언어 가운데 하나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한다. 오랫동안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어휘는 물론 문법적 특징까지 인도유럽어족에 속해 있는 언어들의 특징을 띄게 되었다.

 

2)   삶터 및 인구

네팔 카투만두 지역, 약125 만명 (2001년), 네팔 전체의 5.48% 차지

 

림부족 Limbu (Kiranti)

 

1)   언어 분류 및 명칭  

Tibeto-Burman > West Tibeto-Burman > Himalayish > Kiranti > 

스스로 약퉁 Yakthung (yakthung ba 언어는 Yakthung Pan) 이라고 하며, 외부에서는 키란티 (Kiranti, Kirati) 라고도 부른다. 

네팔 및 인도의 시킴주 (Sikkim) 에서 현재도 쓰여지는 주요 언어의 하나임.   자신들 만의 독특한 문자 체계가 있음 (Tibetan and Devanagari writing system)  
Kiranti verbs are not easily segmentable, due in large part to the presence of portmanteau morphemes, crowded affix strings, and extensive (and often nonintuitive) allomorphy.

 

2)   삶터 및 인구

네팔 동부 Limbuwan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인도의  Sikkim and Darjeeling 지역에도 거주, 약 70만명

약 37만명이 모어로 사용 (2001 census)  

 

반타와족 Bantawa

 

1)   언어분류 및 명칭

Tibeto-Burman > Western Tibeto-Burman > Himalayish > Kiranti > 

반타와 (Bantawa, Bantaba) 

 

SOV; postpositions; noun heads initial; no noun classes or genders; content q-word in situ; genitives, adjectives, numerals before noun heads; polar questions marked only with rising intonation; content questions same word order as assertive sentences or question word directly before the verb; up to 2 prefixes, 10 suffixes; clause constituents indicated by word order; affixes indicate case of noun phrases; verbal affixation mark person, number, object—obligatory; tense and aspect; no passives or voice; split ergative; comparatives use Nepali word, bhanda; 25 consonant and 6 vowel phonemes; numbers above 3 are borrowed from Nepali [npi]; CV, CVC, CVCC; nontonal.

 

2)   삶터 및 인구

네팔에 약 13.3 만명 (2011 census). 전체적으로 약 17만명의 언어 사용자가 있음.   

 

체팡족 Chepang

 

1)   언어 분류 및 명칭

Tibeto-Burman > Western Tibeto-Burman > Himalayish > Mahakiranti > 

Rung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함

 

2)   삶터 및 인구

네팔에 약 4만명 (2003)

 

캄족 Kham

 

1)   언어분류 및 명칭

Tibeto-Burman > Western Tibeto-Burman > Himalayish > Mahakiranti > 

 

2)   삶터 및 인구

네팔에 약 7만명

 

마가르족 Magar

 

1)   언어분류 및 명칭

Tibeto-Burman > Western Tibeto-Burman > Himalayish > Mahakiranti > 

 

 

2)   삶터 및 인구

네팔에 약 190만명 (네팔, 부탄 남부, 인도의 다질링 및 시킴주 Darjeeling & Sikkim)

 

 

롤로-이 어군 (彛族, Yi-Zu, Lolo, 롤로족)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1.  삶터 및 인구:

중국 윈난성雲南省, 미얀마 북동부, 태국 북부, 라오스북부 및 베트남 북부 접경지역에 약 800만명 거주

 

2.  언어

이족, 하니족, 리수족, 라후족, 나시족 등이 롤로-이 어군에 속한다.

 

3.  주요 종족

 

이족 彛族 (Yi-Zu)  

 

1)   언어 분류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롤로-이 어군 

장면어족(藏緬語族 Tibeto-Burman) 이어지(Yi語支)에 속함 

이어지에 속하는 종족에는 리쑤족傈僳族 나시족納西族 하니족哈尼族 바이족百族이 있으며 이 종족들은 모두 윈난성雲南省 안에 자치구역이 있다 이외에 Qiang (창족), Tibetan (티벳족), Tujia (토가족) 등과 언어적으로 관련이 있다. 

 

2)   명칭  

중국에서 Nisu, Nasu, Sani, Axi (), Lolopo, Pu 6개 이상의 뚜렷이 분별되는 언어 사용 민족을 "이족 彛族 Yi-Zu”로 통칭

청나라 이전에는 이족夷族이라 하였으나만주족 왕조가 (오랑캐)라는 호칭을 싫어해, 같은 소리인 이()라는 글자로 교체.

그들 스스로는 “누오수 Nuosu 諾蘇”라고 부른다.  스스로 부르던 “Lolo" "Luoluo(倮倮)” 라는 명칭은 현재 쓰지 않는다. “로로”란 이족 자신이 조상숭배를 위해서 가지고 있던 작은 대나무 조각이었다.  

고대 중국의 뤄뤄(羅羅), 오만(烏蠻), (자와 동일), 라과(玀猓)라는 명칭은 다분히 멸시적인 표현이다.   

베트남, 태국 및 유럽에서는 롤로족 (Lolo People) 이라고 통칭함.   

 

3)   명칭 상의 분류:

Ni 그룹:     Nuosu 諾蘇, Nasu, Nisu, Nesu, Sani   (su 는 특정 직업을 갖는 사람. Yi 역시 Ni에서 파생됨.)    

LoLo 그룹:    Lolo, Lolopu .  이어의 사투리에서 lo는 호랑이를 의미. 倮倮    

Pu 그룹:   고대 Pu 라는 종족을 이족이 정복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현재의 Liangshan Yi Autonomous Prefecture 동북부)

 

4)   삶터 및 인구

중국 정부의 1978년 조사에 따르면 순수 이족의 인구는 약 400만 명이었다. 쓰촨 성[四川省] 량산이족 자치주[凉山彝族自治州]와 추슝이족 자치주[楚雄彝族自治州]에 사는 이족은 약 57만 명이었다.

중국 정부의 1997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 전체에 658만명이 거주함. 이중 윈난성雲南省 에 약 444.6만명이 거주하며 (윈난성의 중남부인 츄숑楚雄이족자치주, 홍허紅河하니哈尼이족자치주와 서북부인 량샨凉山일대에 집중하여 거주함). 쓰촨성(四川省) 152.6 만, 꾸이조우성(貴州省) 56.4 만명, 꽝시성(廣西省) 4676명이 거주함. 운남성 소수민족중 인구수가 가장 많은 민족이었다.

중국 정부의 2000년 통계에 따르면 7762300명의 이족이 중국에 거주하며, 약 450만명이 운남성에, 250만명이 사천성 남부에, 100만명이 귀주성 북서부에 거주함.

미얀마 ? , 베트남에 약 3300 (1999), 태국 ?, 라오스 ? 

 

5)   문자  

이족은 약 1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일종의 표의表意 문자형식의 고유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과거에는 루워루워羅羅이라 불리웠으며, 현재는 일반적으로 라오이원(Yi)이라고 부른다.

여섯 종류의 방언이 있으며, 이문자라는 표음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이 언어를 이용하여 역사, 철학, 문예, 의약, 천문지리, 언어, 문자, 종교, 경전등 다방면에서 문헌자료를 남겼으며, 이 가운데 많은 자료들이 현재 정리 출판되고 있다.

The Nosu written language is a pictographic syllabic script of 800 symbols, which was standardized in 1974, and is taught in all Nosu primary schools in Daliangshan.   

 

6)   역사

이족의 기원은 고대 서남북부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고강족(古羌人;gu qiang ren)과 관련있다()은 티벳족, 라싸족, 강족의 선조이기도 하다고 한다이족은 남동 티벳으로부터 쓰촨을 따라  윈난성에 이주해 왔으며, 현재는 윈난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

기원전 4세기초 이들은 지금의 四川省 서북부와 서남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본토인 이(;yi)부족과 융합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다.

()()시대에는 각각 "쿤밍인", "쏘우(sou)"으로 불리우면서 이족이라는 초기 민족으로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8세기 중엽에는 白族 함께 이족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가인 남조국(南詔國;nan zhao guo)를 세우게 된다.

()나라 시대에는 "루워루워(羅羅)"로 불리웠고, 이때부터 세습족장제도인 土司제도(黑骨,白骨,家奴 3개등급)를 형성한다.

이후 중국건국 전까지 노예제도와 봉건제도가 이족사회안에 병존하였고, 현재까지 경제적 불균형과 사회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이족은 오래된 역사 발전 과정속에서 다양한 지계(支系)들을 형성해 왔는데, 서로 다른 이름만 해도 무려 100여종이 넘고 있다. 가운데 대표적인 이름으로는 "누어쑤(諾蘇)", "나쑤(納蘇)", "루워루워(羅羅)", "(Yi)", "헤이이(Yi)", "바이이(Yi)", "사니(撒尼)"등이 있으며, 현재는 "이족"으로 통칭하고 있다.

 

7)   방언

중국에서는 크게 6개의 방언지역으로 나눈다. 방언의 차이가 커, 서로 의사소통하는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일부 지역에서 지역간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소통이 불가능하며, 간혹 漢語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    동북부방언지역:   3개 제2방언 9土語. 츄숑楚雄이족자치주의 우딩武定, 위엔모우元謀, 뤼펑祿豊등에서 약100만명이 사용.

-    동남부방언지역:   4개 토속어(土語). 루난(路南), 미러(彌勒), 화닝(華寧), 원샨(文山)등지에서 약 68만의 인구가 사용.

-    서부방언지역:   2개의 토속어. 웨이샨(巍山), 미뚜(彌渡), 잉핑(永平), 바오샨(保山)등지에서 약 67만의 인구가 사용.

-    남부방언지역:   3개의 토속어. 지엔슈이(建水),꺼지우(各舊), 신핑(新平), 어샨(峨山)등지에서 약 100만의 인구가 사용.

-    북부방언지역:   2개의 제2방언과 5개의 토속어. 화핑華平, 용셩YongSheng,닝랑NingLang 등에서 약80만명이 사용   

-    중부방언지역:   2개의 토속어.  츄숑(楚雄), 모우딩(牟定), 따야오(大姚), 용런(永仁)등지에서 약 55만의 인구가 사용.   

위키 백과에 따른 방언

-     Southern 108:   Nisu,Southern Nasu,Muji,AChe,Southern Gaisu,Pula,Boka,Lesu,Chesu,Laowu,Alu,Azong,Xiuba   

-     Southeastern 73:   Poluo, Sani, Axi, Azhe, Southeastern Lolo, Jiasou, Puwa, Aluo, Awu, Digao, Meng, Xiqi, Ati, Daizhan, Asahei, Laba, Zuoke, Ani, Minglang, Long,

-     Central 약56:   Lolopo, Dayao Lipo, Central Niesu, Enipu, Lopi, Popei    

-     Eastern 146:   Eastern Nasu, Panxian Nasu, Wusa Nasu, Shuixi Nosu, Wuding Lipo, Mangbu Nosu, Eastern Gepo, Naisu, Wumeng, Naluo, Samei, Sanie, Luowu, Guopu, Gese, Xiaohei Neisu, Dahei Neisu, Depo, Laka, Lagou, Aling, Tushu, Gouzou, Wopu, Eastern Samadu

-     Western 약116:   Mishaba Laluo, Western Lolo, Xiangtang, Xinping Lalu, Yangliu Lalu, Tusu, Gaiji, Jiantou Laluo, Xijima, Limi, Mili, Lawu, Qiangyi, Western Samadu, Western Gepo, Xuzhang Lalu, Eka, Western Gaisu, Suan, Pengzi   

-     Northern 253:   Shengba Nosu, Yinuo Nosu, Xiaoliangshan Nosu, Butuo Nosu, Suodi, Tianba Nosu, Bai Yi, Naruo, Naru, Talu, Mixisu, Liwu, Northern Awu, Tagu, Liude, Naza, Ta'er    

-     Unclassified 6:   Michi (Miqie), Jinghong Nasu, Apu, Muzi, Tanglang, Micha, Ayizi, Guaigun

 

8)   의복

전통적 민족복장이 다양. 종류와 양식면에서 뿐만아니라 도안 역시 복잡. 여자의 경우 현재 약 100여종이 넘는 복장이 있는데, 이는 성별, 연령별, 평상복, 혼인복, 장례복, 제사복, 전쟁복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족의 복장은 지역마다 크게 차이가 있는데, 치마를 위주로 입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어떤 지역은 바지를, 그리고 어떤 지역은 두루마기를 위주로 입는다 복장의 표현 역시 다르다. 예를들면, 자수, 십자수, 염색등 그 방법이 변화무궁하며, 색깔 역시 풍부하다. 이들은 검은색을 숭상하며, 옷감으로 주로 검은색, 청색, 남색등을 사용. 云南 남부의 광대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이족의 복장을 가리켜 "홍허씽(紅河型)"복장이라고 부른다.

남자의 경우, 각지역마다 기본적으로 같은데, 옷섶이 짧고 깃이 바로 선 상의에 폭이 넓은 바지를 입는다. 색깔은 검은색 혹은 남색을 사용한다.   여자의 경우,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가지고 있으며, 긴 홑옷, 중간 홑옷, 바지와 웃옷만을 입는 간단한 모양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외투로 조끼를 입고 긴바지를 입거나 앞치마를 두른다

머리장식은 주로 옥이나 은, 털실로 만든 모자를 쓴다. 예를들면, 쿤밍(昆明)근처의 사메이(撒梅)支系 홍허하니족이족(紅河哈尼族Yi) 自治州 남부지역에 있는 여러支系 처녀들은 일종의 닭의 볏모양의 "지꽌마어(鷄冠帽)"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단단한 천을 잘라 만든 닭의 볏모양에 다시 크고 작은 1,200여개의 은 알을 박아넣어 만든 것으로 마치 우는 수탉의 모양과 같다. 이것은 처녀들의 길흉과 행복을 의미한다이외에 루난(路南)의 사니(撒尼) 支系 여자들은 "워얼지에(窩耳結)"이라고 부르는 옥과 화려한 무늬로 만든 모자를 사용하고 있다.

 

9)   음식

대부분 산지나 산 중간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음식은 추위에 강한 종류의 농작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일반적으로 메밀, 옥수수, 감자가 주식이고, 귀리, , 보리, , 콩 종류가 그 다음이다. 일부 평지에 거주하는 사람들 가운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이들도 있다. 부식품으로는 소, , 돼지, 닭고기등을 먹으며, 특히 날고기와 날간을 먹는 관습이 있다야채나 무우줄기를 원료로 만든 채소에 돼지나 양고기, 혹은 벼를 넣어 만든 국은 그 맛이 독특하다콩으로 만든 뚜워나바(多拿巴) 는 특색있는 음식으로, 콩을 갈아 걸쭉하게 만든 뒤 더운물에 데쳐서 시큼하게 발효시킨 채소를 넣어 함께 끓인 뒤 먹는 방법으로 이 맛 역시 일품이다 이족 속담중에 "漢人貴在茶, Yi人貴在酒"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漢族사람들은 차를 중히 여기지만, 이족사람들은 술을 중히 여긴다는 뜻 

민족의 기원과 연관되어 있다는 원시종교의 영향 때문에 개, 곰 등의 동물들을 먹는 것은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10)   주택

이족은 농경 위주의 민족으로 대부분 산지나 계곡 근처의 평지에 거주하고 있는 관계로 다양한 가옥형태을 가지고 있다비가 적은 곳은 "투쟝팡(土掌房)", 비가 많은 곳은 "챠오띵(草頂)", 나무가 많은 곳은 "무렁팡(木楞房)" 형식의 가옥들을 사용하고 있다.

투쟝팡(土掌房)은 이족의 전통가옥으로서, 추쑝(楚雄) 이족자치주와 남부지역인 어샨(峨山), 신핑(新平), 위엔쟝(元江), 진핑(金平)일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土掌房 본채(正房)와 곂채(廂房)로 구분되는데, 본채는 3개의 방으로 구분된 2층 형식의 가옥으로 되어있다. 1층은 소나 돼지등 가축을 가두는 우리로 사용하고, 2층은 주로 사람들이 거주하는 생활공간으로 사용한다. 마루나 지붕은 흙으로 사람의 키와 같은 높이로 만들어 베란다 등으로 사용한다본채의 3개방 가운데 중앙은 대청과 주방으로 사용한다.   방안으로 들어가면 오른쪽에 "鍋庄"(guo zhuang)이라고 부르는 火塘(huo tang)이 있다.

다른 소수민족과 마찬가지로 이족에게 있어서 火塘 가정생활의 상징이며, 각종활동의 중심지이다. 예를들면 손님을 맞이하거나, 식사를 할 때, 그리고 각종 종교의식을 거행할 때, 모두 火塘 주위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火塘 가족의 운명, 축복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불이 꺼져서는 안된다. 그래서 이른바 "완니엔훠(萬年火)"라고도 부른다. 土掌房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밖에 三合院(''모양), 四合院(''모양)형식의 가옥들이 있다.

 

리쑤족 傈僳族

 

1)   언어분류 및 명칭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롤로-이 어군 

리쑤족 (리수족, 傈僳族) 

 

2)   삶터 및 인구 

1970년대말 약 47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중국 윈난 성에서부터 남쪽으로 미얀마와 타이 북부까지 이동하여 흩어져 살고 있었다.

 

나시족 納西族

 

1)   언어분류 및 명칭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롤로-이 어군

나시족Naxi, 나키족(Nakhi), 모수족(Mosu), 모소족(Moso) 등으로 불리움.

 

2)   삶터 및 인구 

대부분 리장 麗江, 중뎬 中甸, 웨이시 維西, 닝랑 등의 현 또는 자치현에서 살았으며, 1978년 인구가 약 23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3)   종교 및 삶

북부지역에서 어울려 사는 티베트족들과 함께 대개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또한 여러 가지 혼백과 귀신들을 믿는다.     

 

하니족 / 아카족 (Hani 哈尼族, Akha)

1)   언어분류 및 명칭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롤로-이 어군 

중국에서는 하니족 (哈尼族 Hani), 미얀마 및 태국에서는 아카족 (Akha) 로 불리움.  Akha족은 태국에서 비속어로 Gaw 또는 E-gaw 로 불리기도 하는데, 중국 운남성 하니족과 가까운 관계 (Hani of China's Yunnan province)

 

2)   삶터 및 인구

중국의 하니족 및 태국의 아카족은 총 200~300만명 (태국에 약 7만명)  

 

3)   언어 및 문자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롤로-이 어군

문자 - 전통문자는 없음   

 

4)   종교 및 삶
Although many Akha, especially younger people, profess Christianity, Akha Zang (The Akha Way) still runs deep in their consciousness.    The Akha are a shamanic group that share the ancient universal archetype that the Goddess spins a universe where nature is not distinguished from humankind.   They embody the essence of its consciousness into a holistic continuum where there is no dichotomy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ural world.   The Akha Way, a prescribed lifestyle derived from religious chants, combines animism, ancestor worship, shamanism and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land.    The Akha Way emphasizes rituals in everyday life and stresses strong family ties and the hymn of creation.;
every Akha male can recount his genealogy back over fifty generations to the first Akha, Sm Mi O. AFECT [1] NGO is the oldest NGO for Tribes in Asia helping to protect the deeply shamanic tribal culture. Akha Asia [2] runs an Akha cultural school.
      

 

라후족 (Lahu 拉祜族 납호족)

 

1)   언어분류 및 명칭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롤로-이 어군

 

중국 -  라후 Lahu 拉祜族 (납호족), 자칭 - Ladhulsi or Kawzhawd, 베트남 - LaHu, 태국 - Muso (사냥꾼을 의미) 
 
2)   삶터 및 인구

중국에 72만명 거주 (윈난성 Yunnan Province 에 45만명, 대부분 Lancang Lahu Autonomous County에 거주)
미얀마에 15만명,
타이에는 10만명, 라오스에 1만명, 베트남에 5000명 (대부분 Lai Chau province 에 거주)

 

3)   언어 및 문자    

라후족의 언어는 로로족의 여러 언어 계파 중 하나인 라후어이다. 라후어의 기본구문은 SOV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수분류사 발달, 문법이나 발음이 쉽기 때문에, 산악민족 사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Lahu language is part of the Loloish branch of the Lolo?Burmese subgroup of the Tibeto-Burman family (itself a member of the Sino-Tibetan language family).

 

4)   방언

Subgroups:   Lahu Na (Black Lahu), Lahu Nyi (Red Lahu), Lahu Hpu (White Lahu), Lahu Shi (Yellow Lahu) and the Lahu Shehleh.  전통복장의 색에 따른 이름

 

5)   종교 

종교는 불교와 전통신앙


6)   역사

A few Lahu, along with the Hmong, Lao, and Mien were recruited by the United Stat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to help fight against the communist Pathet Lao, known as the secret war, during the 'Laotian Civil War.     In fear of retribution when the Pathet Lao took over the Laotian government in 1975, those who had helped the United States fled to neighboring Thailand seeking political asylum.    A couple thousand Lahu have resettled in the United States as refugees, in the states of California, Minnesota, North Carolina, Texas, and Utah.     However, most Lahu Americans live in Visalia, CA, thus making Visalia, CA home to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Lahu people outside of Southeast Asia.

 

 

카렌 어군 (Karen)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1.   언어분류 및 명칭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  

 

2.   삶터 및 인구

미얀마와 태국의 국경지대에 대략 750만명~1400만명이 거주 

태국에 약 32만명 거주, 라오스에 소수  

3.   종교 및 삶

화전 (Hill Tribe) 또는 정착농


4.   주요 종족

Pa'o, Pwo, Sgaw

 

 

타니 어군 (Tani)

티벹미얀마 어족 > 동부 티벹미얀마 어파 (미얀마-롤로 어파) 

    

1. 삶터:

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 최대 민족군 형성 (약60만명) - 인도 아삼, 중국 티벹, 부탄 및 미얀마의 접경 지역  

(Adi-many subtribes, Nyishi, Hill Miri, Tagin, Apatani peoples)

중국의 티벹 시짱자치구 西藏自治區의 뤄위지구洛愉地區 (모퉈墨脫, 미린米林,룽쯔현隆子縣 등) 에 약 2100명 거주

(뤄바족)

 

2.  명칭: 

타니Tani 뤄바 Lhoba 보카르 Bokar 아디Adi 갈로Galo 아보르Abor 미리Miri 미싱Mishing 니시Nishi
다프라dafla 흐루소Hruso (Aka) 타진Tagin 아파타니Apatani

 

구전되는 그들의 종족세계 (genealogy counting)는 다음과 같다.
Abotani as Nijum-Jumsi-Siki-Kiyor-Yorkar-Kardung-Duram-Ramdung/Ramgu/Ramgo.
All Bokars groups have originated from Ramdung, Ramgo and Ramgu.  
Their immediate brothers are Galo, Ramo, Libo/Pailibo and Tagin. 

그들의 언어로 abo=father 를 뜻하고 tani=human을 뜻함.

중국에 사는 일부 타니계 종족은 뤄바족珞巴族 LHOBA.   뤄바란 티베트미얀마어로 '남쪽사람'이라는 뜻이다.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서는 보카르 Bokar라고 불리움

Adi-galo (Abor or Bokar Lhoba) 

 

Hruso, also known as Aka or Angka, is a small language of Arunachal Pradesh in India

 

3.  언어:

Tani, Aka Miric, Adi-Galo-Mishing-Nishi (Bradley 1997), Abor-Miri-Dafla (Matisoff 2003) 등으로 분류되기도함
Digarish, Taraon 및 Idu 등의 언어와 가깝다는 설이 있음.

문자가 없기 때문에 나무에 결을 새기거나 밧줄에 매듭을 지어 문자를 대신한다. 

중국 미린현에서 조사된 바에 따르면, 송기음(送氣音)·이중자음·성조가 없다.
23개의 단자음이 있는데 이는 6개의 파열음(破裂音), 3개의 파찰음(破擦音), 2개의 마찰음, 4개의 비음(鼻音), 4개의 구개음(口蓋音), 그리고 각각 1개씩의 설측음(舌側音)과 전동음(顫動音)으로 나눌 수 있으며, 2개의 반모음이 포함된다.
모두 16개로 이루어진 단모음 체계는 8개의 단모음과 8개의 장모음으로 나뉘며, 7개 복모음과 33개 자음꼬리가 붙은 모음이 있다.
조사를 통해 문장의 성분이 표시되며, 동사나 형용사가 서술어가 되었을 경우에는 어미조사가 붙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사는 일반형·완성형·미래형·현재형의 구분이 있다. 주어는 앞에, 술어는 뒤에 오며, 목적어는 술어 앞 주어 뒤에 온다.
보어는 술어 뒤에 붙으며, 일반적으로 수식어는 피수식어 뒤, 부사어는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4. 역사:  
티베트에 예속되어 있었으며, 17세기에 다라이라마 5세가 쓴 문서에도 그 예속관계에 관한 내용이 보인다.
19세기말 20세기초 뤄위를 잠식해 들어오는 영국에 맞서 저항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타니족은 인도와 중국 사이에서 잃어버린 종족이되었다.

 

5.  타니계 각 종족 자료

 

아보타니 Abo-tani

Forefather of all Tani clans such as Nyishi, Apatani, Adi, galo,idu mishmis, Tagin and others
a tribal group in Arunachal Pradesh, India and also an ethnic minority tribe in Tibet region(china).

 

아파타니 Apa-Tani

인도의 아삼(Assam), 나가랜드(Nagaland) 그리고 아루나칼 프라데시(Arunachal Pradesh) 등 3개의 주에 걸쳐 산다.
계곡 전체를 하나의 실제적인 정원으로 변모 시켜 놓아 한 조각의 땅도 낭비함이 없이 근사하게 사용하도록 만듬.
벼농사를 위해서 수로와 송수관을 통해 물을 대는 계단식 논을 가꾸어 이모작이 가능하도록 했다.
인도 내의 인구 변화:   (1990) 19,600  (1995) 21,500  (2000) 23,500

대부분 전통종교를 믿는다.  

 

 

로바족 (Lhoba) 

 

주로 인도 북동부에 거주  
인도 내의 인구:   (1990) 199,400    (1995) 219,300    (2000) 239,600
대부분 불교 신봉.   인도의 로바는 중국 소수 민의 하나인 중국 로바 족의 일부 이다. 

 

인도-로바족Lhoba분포도.gif 

인도-아파타니족ApaTani분포도.gif

 

 

중국 및 인도의 티벹-미얀마 어족

 

1)   중국 내의 티벹미얀마계 민족 인구 (2000년 기준):

 

중부 티벹인       티벹어             5,114,000 (2000년 기준)  

(Kham)        캄어                1,706,600

암도(Amdo)      암도어             901,200

멘파                모인바어           33,400

부리그             부리그어           101,000 

라다키             라드와그어        2,500    (인도 캐시미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제외한 인구, 라마교 70%)

 

아투엔처          아투엔처어        579,000

치엥                치앙어              220,800   라마교 70%

쟈룽                쟈룽어              111,200

은골록             골록어              106,900

아디                아디어              63,100 

술룽                술룽어              50,500

초니                초니어              25,200

그로마             그로마어          12,600

쩨쿠                쩨쿠어              12,600

파낭                파낭어             12,600

 

2)   인도의 종교별 티벹미얀마계 부족명: 

라마교    그로마, 라훌리, 라사 티벳인 (달라이 라마와 아주 근접한 곳에 거주).

이슬람교발티, 부리그 (파키스탄 및 인도 북서부에 거주)

전통신앙 -  아디, 아디-갈로, 라바

혼합종교 -   라다키 (라마교와 이슬람교), 카나우리 (라마교, 힌두교와 다양한 전통신앙 

 

3)   인도 내의 티벹미얀마계 민족 인구 (2000 

그로마:             그로마어          15,300             라마교 99.9%

라훌리:             티난-라훌리어    12,300             라마교 99.9%

티벳인             보티아어           130,100 라마교 99.7%

발티                발티어             72,300             이슬람교 98.7%

부리그             푸리크어          255,500 이슬람교 99.7%

아디                아디어             577,500 전통종교 97.9%

아디-갈로          갈롱어             66,300             전통종교 95.4%

라바:                라바어             254,800 전통종교 90.0%

라다키:             라드와그어        102,100 라마교 52% 이슬람교

카나우리           카나우리어        64,300             힌두교 40% 라마교 

 

중국-티벹족-분포도.gif 

중국-중부티벹족-분포도.gif

티벹인_주장_티벹영토.jpg

중국n인도-영토분쟁지역_아루나찰프라데시_악사이친.jpg 

인도-티벹족-분포도.gif

파키스탄-티벹족-분포도.gif

 

 

 

 

 

 

 

 

 

 

출처 : 벼락바위
글쓴이 : east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