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모음 읽는 법
َ |
ِ |
ُ |
یه |
파트헤
fathe |
카쓰레
kasre |
잠메
zamme |
다른 명칭 없음
(그냥 단어 끝에 오는 ه(헤)) |
/ㅏ/발음을 나타내는 기호 |
/ㅔ/발음을 나타내는 기호 |
/ㅗ/발음을 나타내는 기호 |
/ㅔ/발음을 나타냄.
반드시 단어의 끝부분에만 위치한다. |
예를 들면 이렇게 쓰입니다.
مَ |
مِ |
مُ |
مه |
/ma/
마 |
/me/
메 |
/mo/
모 |
/me/
메 |
하지만 파트헤, 카쓰레, 잠메는 일반 문서상에는 거의 99퍼센트 쓰이지 않고 자음으로만 표기합니다.
(단어 끝에 오는 '헤'만 그대로 표기됨)
2. 장모음 읽는 법
با |
بی |
بو |
aa |
i, ei |
u, o, ou |
/ㅓ/발음을 나타낸다 |
/ㅣ/ 또는 /ㅔㅣ/발음을 나타낸다.
대개 /ㅣ/로 발음된다.
(/ㅔㅣ/로 발음되는 단어들은 따로 외워야 한다.) |
/ㅜ/ 또는 /ㅗ/ 또는 /ㅗㅜ/발음을 나타낸다.
대개 /ㅜ/로 발음된다.
(/ㅗ/, /ㅗㅜ/로 발음되는 것들은 외워야 한다.) |
예를 들면 이렇게 쓰입니다.
(그리고 장모음을 표시하는 문자들은 생략되지 않고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ما |
می |
مو |
/maa/
머 |
/mi/ or /mei/
미 또는 메이 |
/mu/ or /mo/ or /mou/
무 또는 모 또는 모우 |
※ /ㅣ/, /ㅜ/ 등으로 발음되지 않고 /ㅔㅣ/, /ㅗㅜ/ 등으로 발음되는 단어들의 예
페르시아어 |
발음 |
뜻 |
کی |
키
케이 |
누구('키'로 발음될 때)
언제('케이'로 발음될 때) |
خیلی |
헤일리 |
매우 |
دی |
데이 |
(이란력으로)10월 |
دو |
도 |
숫자 2, 둘 |
شوهر |
쇼우하르 |
남편 |
3. 그 외 기호들
ْ |
ّ |
ماً / ملاً |
مۀ |
쏘쿤
sokun |
타쉬디드
tashdid |
탄빈
tanvin |
함제
hamze |
해당 자음에 모음이 없음을
나타내준다. |
해당 자음이 두 번 겹쳐서 세게 발음됨을 나타낸다. |
어말형의 알리프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안/으로 발음된다.
주로 위에 붙은 두 줄 없이 적힌다. |
/ㅔ/발음을 나타내는 단어가 뒤에 오는 단어의 수식을 받을 때 표시해 주는 기호. 그냥 /에예/로 발음된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된다. (많은 함제들 중 하나이다.) |
예를 들면 이렇게 쓰입니다.
تارُفْ |
بَچّه |
تَقْريبًا |
گُرْبۀ شُما |
/taarof/
터로프 |
/bachche/
밫체 |
/taqriban/
타그리반 |
/gorbeye shomaa/
고르베예 쇼머 |
터로프(이란 특유의 언어관습) |
아이 |
대략 |
당신의 고양이 |
4. 알리프에 얹은 모음들 읽기
페르시아어(이란어)에서는 단어의 가장 앞에 모음만 오거나 또는 문법적인 이유 때문에 모음을 떨어뜨려줘야 할 경우
알리프라는 글자 위에 새로 모음을 표기합니다. 그 때는 위에 나온 모음들을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اَ |
اِ |
اُ |
اه |
آ |
ای |
او |
/a/
아 |
/e/
에 |
/o/
오 |
/e/
에 |
/aa/
어 |
/i/ or /ei/
이 또는 에이 |
/u/ or / o/ or /ou/
우 또는 오 또는 오우 |
5. ی또는 و가 모음이 아닌 자음으로 쓰이는 경우
위에서 ی또는 و는 장모음을 표시하는 데 쓰이는 글자였습니다. 그런데 이 글자들은 자음으로 쓰일 수가 있습니다.
자음으로 쓰일 때에는 각각 /y/, /v/가 됩니다.
발음은 아래와 같이 됩니다.
یَ |
یِ |
یُ |
یه |
یا |
یی |
یو |
/ya/
야 |
/ye/
예 |
/yo/
요 |
/ye/
예 |
/yaa/
여 |
/yi/ or /yei/
이 또는 예이 |
/yu/ or /yo/ or /you/
유 또는 요 또는 요우 |
وَ |
وِ |
وُ |
وه |
وا |
وی |
وو |
/va/
바 |
/ve/
베 |
/vo/
보 |
/ve/
베 |
/vaa/
버 |
/vi/ or /vei/
비 또는 베이 |
/vu/ or /vo/ or /vou/
부 또는 보 또는 보우 |
6. 각종 부호 생략
그런데 페르시아어(이란어)의 가장 큰 난점은,
위에 나온 파트헤, 카쓰레, 잠메, 쏘쿤, 타쉬디드, 탄빈이 실제 생활에서는 필요할 때를 제외하고는 99퍼센트 안 쓰인다는 점입니다.
(그나마 타쉬디드가 좀 쓰이긴 하지만 그래도 읽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페르시아어를 공부하실 때에는 영어처럼 단어마다 발음을 외우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차이가 있습니다.
완전한 표기 |
실제 생활이나 책에 쓰일 때의 표기 |
اَزْ دیدَنِ شُما خوشْ بَخْتَمْ |
از دیدن شما خوش بختم |
/az didane shomaa khosh bakhtam/
아즈 디다네 쇼머 호쉬 바흐탐
"만나서 반갑습니다." |
7. 그 외 주의해야할 발음들
کَ |
گَ |
خوا |
نه |
السلام |
الله |
خانم |
چیه/کیه |
ka |
ga |
khaa |
na |
assalam |
allah |
khaanum |
chiye/kiye |
/카/가 아니라
/캬/임 |
/가/가 아니라
/갸/임 |
/흐버/가 아니라
/허/임 |
평소에는 /네/로 발음하지만
'아니오(no)'의 뜻으로
일 때는 /나/로 발음 |
/알쌀람/이 아니라
/앗쌀람/ |
/알라/, /알라흐/
또는 /알라호/
(대개 /알라/로 발음함.
'하나님'이라는 뜻) |
/허놈/이
아니라
/허눔/ |
각각 /치예/, /키예/ |